
1. 기업 개요
시가총액 1조 3,215억
보통주 : 29,366천 주
유동비율 : 40.86%
대주주 지분 : 54.14%
국민연금공단 : 5.00%
외국인 보유 비중 : 13.73%
2. 사업 분야 및 매출 현황
주 사업분야는 PI(99.97%)이며 20년 매출 현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폴리이미드 필름에 대해서는 아래 PI첨단소재의 소개글을 참고하면 됩니다.

http://www.pimaterials.com/business/pi_film.jsp.html
PI첨단소재
www.pimaterials.com
3. 영업 이익
매출은 늘었으나 영업이익률의 등락을 겪었습니다. 그 이유로는 다품종의 생산으로 인해 라인 효율 저하로 이익률이 떨어졌을 확률이 높습니다. 제조회사에서 1가지 제품을 지속 생산하는 것과 생산 라인을 자주 변경하는 것은 택 타임이 길어짐을 의미하며 당연히 이익률의 하락을 겪을 수밖에 없습니다.

https://eibery77.tistory.com/196
생산관리] Lead time(리드타임)과 Tact Time(택트타임)의 개념, 개선(축소) 방안, 계산방식 - ②
행동이 답이다. 오늘은 Lead time과 Tact Time의 개념과 줄이는(개선) 방안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생산관리자라면 Lead time과 Tact Time의 개념을 꼭 숙지하여야 합니다. 이는 공정개선의 기본입
eibery77.tistory.com
4. 매출채권, 재고자산, 가동률, 증설 계획
4-1 매출채권
- 33.7% 증가


4-2 재고자산
- 제품 19.6% 감소
- 원재료 4.2% 증가
- 합계 4.7% 감소


4-3 가동률
- 17.18% 증가


4-4 증설 계획




5. 1Q21 매출 및 영업 이익
이미 실적 발표가 되었으므로 결과를 그대로 적겠습니다.
PI첨단소재 1분기 실적
- 매출 776억
- 영업이익 207억
6. 결론
라인 전용화를 통해 효율성을 높여 전성기 수준인 25%의 영업이익률을 달성하고 있습니다. 22년까지는 증설 라인 가동 전이므로 연간 기준 3,200억~3,400억의 매출과 800~850억의 영업이익을 유지하다가 23년은 15.4%의 매출 증가, 24년은 43.6%의 매출 증가가 예상됩니다.
EV/2차 전지의 수요에 따라 증설 폭은 더 커질 수도 있기 때문에 매출 증가의 기대치가 높다고 평가됩니다.
현재 멀티플은 16.5로 21년 실적이 선반영 되어 모바일 부품 주로 보면 높고 2차 전지 관련주로 보면 낮은 상태로 차익 실현 매물이 나오고 있습니다.
장점
- 모바일 수요 증가와 전장 등 사업분야 다각화로 가동률 개선
- 사업분야 다각화를 통한 매출의 안정성 증가
- 수요의 증가를 대비하는 증설
단점
- 21년 영업이익이 선 반영되어 있음
- 2차 전지 관련하여 공격적인 증설 필요
PI첨단소재 주가
21년 5월 11일 기준가 44,900원
21년 영업이익 800억 달성 시 40,800원까지 바닥 열려 있음
24년 영업이익 1,221억 달성 시 62,300원
* 상기 의견은 개인적인 분석에 따른 의견입니다.
'모바일_친환경_조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KH바텍_060720> 재무제표 기반 주가 분석 (0) | 2021.08.10 |
---|---|
<한국조선해양_009540> 재무제표 기반 주가 분석 (2) | 2021.06.22 |
<인선이엔티_060150> 재무제표 기반 주가 분석 (0) | 2021.05.13 |
<나무가_020150> 재무제표 기반 주가 분석 (1) | 2021.05.11 |
<파트론_097520> 재무제표 기반 주가 분석 (0) | 2021.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