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블로그에서 2/26에 작성한 글입니다.
안녕하세요 컨설턴트입니다.
오늘은 국채 금리의 상승을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정책 금리 VS 시장 금리
미국 연준 의장은 금리를 2023년까지 초 저금리로 동결하겠다고 하는데 왜 금리가 오른다고 하는 것일까요? 그건 바로 정책 금리와 시장 금리의 차이 때문입니다.
정책 금리는 국가 은행에서 지정한 그 나라의 기준 금리입니다.(미국은 특수한 상황이라 예외입니다)
시장 금리는 채권의 매매로 인해 발생하는 변동 금리입니다. 채권의 가격과 이자율은 정해져 있는데 왜 시장 금리는 변경이 될까요?
정책 금리(절대 금리) 0.00~0.25%
시장 금리(가변 금리) 1.558%(2/26 최고 금리)
왜 금리는 변동되는가?
시장에서 채권의 수요가 공급보다 크면 시장 금리(채권 수익률)는 떨어진다.
시장에서 채권의 공급이 수요보다 크면 시장 금리(채권 수익률)는 올라간다.
표면 금리 5%에 액면가 100원인 채권이 있습니다.
- 채권 가격 상승(시장의 불안 요소가 클 때 [EX] 미중 분쟁 or 코로나)
채권의 수요가 늘어서 채권의 가격이 100원->101원, 채권 수익률=105/101=3.96%로 수익률 1.04% 저하
- 채권 가격 하락(불안 요소가 해소되어 안전 자산으로 이동)
채권의 수요가 줄어서 채권의 가격이 100원->99원, 채권 수익률=105/99=6.06%로 수익률 상승
- 채권 가격 급등(시장의 불안 요소가 클 때 [EX] 미중 분쟁 or 코로나)
채권의 수요가 늘어서 채권의 가격이 100원->105원, 채권 수익률=105/105=0%로 수익률 5% 저하
- 채권 가격 급락(불안 요소가 해소되어 위험 자산으로 이동)
채권의 수요가 줄어서 채권의 가격이 100원->95원, 채권 수익률=105/95=10.53%로 수익률 5.53% 상승
시장이 회복된다->채권 가격은 하락하고 채권 수익률을 상승한다(안전 자산->위험 자산 이동)->연준에서 채권 매수를 줄인다->채권 매도자는 늘어나는데 매수자는 줄어든다->시장 금리(채권수익률)는 급격히 상승한다
미국 금리(시장금리)의 상승의 해석과 결론
미 국채 10년 물의 수익률(시장 금리)이 급등하면서 시장 참여자들이 불안해하고 있습니다. 이틀 전 아래 파월의 발언으로 안정세로 가던 와중에 급등을 한 이유는 아이러니하게도 경제가 회복되고 있다는 시그널 때문입니다. 바로 실업 청구 수당의 감소입니다.
https://blog.naver.com/ekfquf2420/222254945692
https://ekfquf2420.tistory.com/ : 네이버 블로그
숫자와 팩트, 그리고 분석에 기반하여 투자하는 보수적인 투자자
blog.naver.com
시장이 위기에서 회복되면 수익률의 상승을 위해 안전 자산에서 위험 자산으로 자산의 이동이 발생합니다. 이는 아주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다만 시장 금리의 급격한 상승은 금리의 상승으로 인해 채권을 매수해도 수익률이 높기 때문에 안전 자산에서 위험 자산으로의 이동이 줄어들거나 없어지는 효과가 발생합니다.
1. 주식 시장에서의 기대 수익률>채권 수익률
2. 주식 시장에서의 기대 수익률<채권 수익률
2의 상황이 되면 큰돈을 굴리는 글로벌 플레이어들은 안전 자산(채권)도 충분한 수익률을 제공하기 때문에 굳이 위험 자산인 주식으로 이동할 욕구가 줄어듭니다. 돈이 안 들어 오니 주식 시장도 자금 유입의 감소로 상승 모멘텀이 없어지게 되는 거고요.
연준에 대한 믿음이 없거나 본인들이 채권을 더 많이 팔고 싶으니 연준 네가 다 받아 달라는 일종의 협박 시그널이라 보면 됩니다. 내 채권 계속 사 줄 거지+더 안 사주면 다 풀어 버리고 금리 올려 버릴 거야!라는 협박이지요.
월가가 부릅니다
'경제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정 주가 어떻게 계산하면 될까?(2. ROE) (0) | 2021.04.14 |
---|---|
적정 주가 어떻게 계산하면 될까?(1. 멀티플의 해석) (10) | 2021.04.14 |
지수의 변동이 왜 심할까?(옵션 매매) (0) | 2021.04.14 |
코스피 200 선물 분석으로 지수의 방향 예측하기 (0) | 2021.04.14 |
주식 초보들을 위한 종목 선정 실패 확률을 줄이는 방법 (0) | 2021.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