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공부

코스피 200 선물 분석으로 지수의 방향 예측하기

Consultant 2021. 4. 14. 17:55
반응형

안녕하세요 컨설턴트입니다.

오늘은 선물의 흐름을 분석하여 지수의 방향을 예측하는 걸 설명해 보겠습니다.

선물과 옵션의 상세 설명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 부탁드립니다.

https://www.miraeassetdaewoo.com/mw/mkt/mkt1001/n03.do

 

선물옵션 - 선물옵션 - 트레이딩

 

securities.miraeasset.com


1. 선물 포지션

- 매수(롱=Long) : 지수가 상승하면 이득

선물을 매수했을 시에 차익을 남기고 거래를 종료하려면 매도를 해야 거래가 종료됩니다.

- 매도(숏=Short) : 지수가 하락하면 이득

선물을 매도했을 시에 차익을 남기고 거래를 종료하려면 매수를 해야 거래가 종료됩니다.

매수든 매도든 종료 시점까지 계약 청산을 하지 않으면 지수 1계약에 해당하는 현물을 인수 or 인계를 해야 하나 개인의 선물 매매는 증권사에서 마감 시 청산을 대행해 주기 때문에 문제가 되지 않는다 보시면 됩니다.


2. 코스피 200 선물의 증거금과 계약 기준

지수 1계약의 기준은 아래와 같이 계산합니다. 코스피 200 선물은 지수 1당 25만 원입니다.

유가증권 시장 21년 2월 기준

체결 기준 지수 * 거래승수 * 계약수 = 코스피 200 선물 1지수의 가격


3. 선물 매매 시 거래로 인한 차익 계산

3-1매수 계약 수익

매수 체결 : 300(기준 지수)*25(만 원)*1(계약수)=7,500만 원

매도 체결 : 301(기준 지수)*25(만 원)*1(계약수)=7,525만 원

1계약 매수/지수 1 상승/25만 원 수익

3-2 매도 계약 수익

매도 체결 : 300(기준 지수)*25(만 원)*1(계약수)=7,500만 원

매수 체결 : 299(기준 지수)*25(만 원)*1(계약수)=7,525만 원

1계약 매도/지수 1 하락/25만 원 수익

3-3매수 계약 손실

매수 체결 : 300(기준 지수)*25(만 원)*1(계약수)=7,500만 원

매도 체결 : 299(기준 지수)*25(만 원)*1(계약수)=7,475만 원

1계약 매수/지수 1 하락/25만 원 손실

3-4 매도 계약 손실

매도 체결 : 300(기준 지수)*25(만 원)*1(계약수)=7,500만 원

매수 체결 : 301(기준 지수)*25(만 원)*1(계약수)=7,525만 원

1계약 매도/지수 1 상승/25만 원 손실


4. 4Q20 주체별 선물 매매 흐름을 통한 예상 손익

4Q20 주체별 선물 현황

4Q20 선물 현황 계산 보조 표

아주 단순하게 외인은 지속 매도를 했고 기관은 지속 매수를 했다고 가정하에 얼마의 손익이 났는지 계산해 보겠습니다.

코스피 지수 2923, 코스피 200선물 395.76이 중간값입니다. 1계약은 증거금은 1187만 원입니다. 기관이나 외인이 증거금을 어느 정도의 비중으로 가져가는지를 모르기 때문에 기준을 임의로 잡아 보겠습니다.

1. 증거금 마진 없을 때(계약 당 1,187만 원 기준)

- 기관은 34만 매수 계약

26.76(차익 지수) * 25(만 원) * 340,008(계약수) = 2.27조 이익

- 외인 32.9만 매도 계약

26.76(손실 지수) * 25(만 원) * 329,002(계약수) = 2.20조 손실

2. 증거금 마진 추가(계약 당 2,000만 원 기준)

- 기관은 20만 매수 계약

26.76(차익 지수) * 25(만 원) * 201,795(계약수) = 1.35조 이익

- 외인 32.9만 매도 계약

26.76(손실 지수) * 25(만 원) * 195,275(계약수) = 1.31조 손실

기관이든 외인이든 일관되게 매수나 매도를 하지 않았기 때문에 위의 계산식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매일매일 평균값을 계산해서 더하는 게 제일 확실하지요.

선물을 매수한 주체(기관)와 매도한 주체(외인) 간 특정 지수 근처에서 싸움을 하는지 보여 드리기 위해 단순화 시켰음을 양해 부탁드립니다.


5. 결론

선물 매매의 흐름을 기반으로 기준 지수를 예측하여 특정 지점 근처에서 트레이딩 하는 것도 가능하다.

누적 순 매수량이 적고 기존 매매 잔고가 크기 때문에 현재 상황에서 방향을 바꾸는 것은 쉽지 않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