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기업 개요
시가총액 5,288억
보통주 : 20,861천주
유동비율 : 42.98%
대주주 지분 : 47.10%
국민연금공단 : 9.92%
외국인 보유 비중 : 8.66%
2. 사업 분야
주 사업분야는 반도체 부문(68.4%), 디스플레이 부문 31.4%)이며 3Q20 매출현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반도체 연마 및 세정, 디스플레이 Wet station 전문 회사로 해당 설명은 아래 자료를 참고하면 됩니다. 쉽게 말해 평평하게 만들어 주고 씻어내는 그런 작업들을 하는 기계를 만드는 회사입니다.
매출현황 3Q20
wet station 이란 각종 Chemical 을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장비입니다.
크게 반응조(reaction bath) 세정조(quick drain and rinse; QDR)로 구성됩니다.
3. 영업 이익
반도체 슈퍼 사이클 이후 장비 주 중에서 비교적 선방한 편에 속하는 회사입니다.
연간 및 분기 영업이익 흐름
4. 매출 채권, 재고자산, 수주잔액
4-1 매출채권
- 매출채권 3.3% 감소
매출채권 3Q20 VS 2Q20
4-2 재고자산
- 제품 7.2% 감소
- 재공품 48.5% 증가
- 원재료 0.5% 증가
- Total 23% 증가
재고자산 3Q20 VS 2Q20
4-3 수주 잔액
- 46.8% 증가
수주잔액 3Q20 VS 2Q20
5. 4Q20 예상 매출 및 영업 이익
별다른 회계 기법을 적용하지 않는다면 4분기는 20%의 매출 증가가 예상됩니다. 4분기 영업이익률을 높게 잡은 이유는 4분기가 대체로 영업이익률이 높고 연평균 18%의 영업이익률을 꾸준히 보여줬기 때문입니다. 4분기 매출은 800억 이상으로 나올 확률이 높습니다만 계산대로 보수적으로 접근하겠습니다.
케이씨텍 4분기 예상 실적
- 예상 매출 689억
- 예상 영업이익 170억
6. 결론
삼성전자, 하이닉스 국내 양사에 장비를 공급하고 국내 장비 비수기인 19년을 중국 쪽 디스플레이 매출이 견인하면서 춘궁기를 훌륭히 지나간 회사입니다.
국내 반도체 투자의 슈퍼 사이클과 디스플레이 장비 쪽의 성장세가 훌륭한 기업으로 멀티플은 디스플레이와 반도체가 혼합된 10 정도의 멀티플을 받고 있습니다.(반도체 평균 20, 디스플레이 평균 5)
재무제표상 가동률 정보가 없어 최대 생산 시 정확히 얼마의 매출이 나올지 모르겠습니다만 반도체 가동률 up+디스플레이 가동률 up을 하게 되면 예상 영업이익은 최대 800억까지 예상해 볼 수 있습니다.
장점
- 디스플레이 장비 매출의 증가로 안정적인 수익 구조 완성
- 반도체 슈퍼 사이클 수혜주
- 안정적인 재무구조
단점
- 별도의 증설 관련 소식 없고 CAPA 확인이 불가하여 최대 예상 매출 확인 어려움
케이씨텍 주가
21년 3월 12일 기준가 25,350원
영업이익 800억 달성 시 38,300원
* 상기 의견은 개인적인 분석에 따른 의견입니다.
'반도체_디스플레이_5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스앤에스텍_101490> 재무제표 기반 주가 분석 (0) | 2021.04.13 |
---|---|
<월덱스_101160> 재무제표 기반 주가 분석 (0) | 2021.04.13 |
<리노공업_058470> 재무제표 기반 주가 분석 (0) | 2021.04.13 |
<OCI_010060> 재무제표 기반 주가 분석_1Q21 (0) | 2021.04.09 |
<DMS_068790> 재무제표 기반 주가 분석_1Q21 (2) | 2021.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