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기업 개요
시가총액 62조 5,022억
보통주 : 164,263천주
유동비율 : 50.46%
대주주 지분 : 3.73%
국민연금공단 : 10.77%
BlackRock Fund : 5.04%
외국인 보유 비중 : 57.20%
2. 사업 분야
주 사업분야는 서치 플랫폼(53.6%), 커머스(20.4%), 핀테크(12.6%), 콘텐츠&클라우드(13.5%)이며 3Q20 매출현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매출현황 3Q20
3. 영업 이익
20년 매출과 영업이익에서 계산치와 발표치가 차이 나는 이유는 3분기부터 적자 중인 일본 라인을 일본 야후와의 합병을 위해 임시로 분리 시켜 놓은 결과입니다.
- 20년 매출 5조 3,041억
- 20년 영업이익 1조 2,153억
연간 및 분기 영업이익 흐름
4. 주요 경영사항(라인 분할)
라인의 분리 효과는 3분기까지 누적, 매출은 1.9조, 영업이익은 -2,421억입니다. 아래 재무제표에서 발췌한 라인-Z 홀딩스가 네이버와 소프트뱅크 간 50:50 지분으로 신규 설립한 법인입니다.
마지막으로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성장을 가속화하고 필요한 역량을 신속하게 강화할 수 있도록 외부 파트너들과의 협력도 진행 중입니다. 2021년 3월 완료될 것으로 예상되는 라인-Z 홀딩스 경영통합은 일본 시장에서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기에 좋은 기회가 될 것입니다. 또한 네이버는 쇼핑, 결제, 물류로 이어지는 흐름에 완결성을 더하고, 글로벌 콘텐츠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지난 10월 CJ대한통운, CJ ENM, 스튜디오드래곤과 자사주 교환 및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였습니다. CJ대한통운이 보유한 국내 1위 택배 인프라, 아시아 최대 규모의 풀필먼트, 글로벌 물류 인프라에 네이버의 기술과 데이터를 접목하여, 주문부터 배송, 알림까지의 전 과정을 디지털화하고, 수요예측, 물류 자동화, 재고 배치 최적화, 자율 주행, 물류 로봇 등 글로벌 스마트 물류 체계를 구축하여 고품질 물류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입니다. 콘텐츠 측면에서는 각 사가 보유하고 있는 IP를 활용하여 신규 콘텐츠를 제작하고, 창작자 지원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이 있는 IP를 확보하며, 웹툰, V LIVE, 라인 등 네이버의 글로벌 서비스와 TVING 등 플랫폼 간 협업을 통해 글로벌 콘텐츠 유통을 강화할 예정입니다. 이번 협업을 통해 네이버는 글로벌 시장을 목표로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며, 앞으로도 다양한 분야의 역량 있는 파트너들과의 협업 기회를 모색하며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고자 합니다.
중단영업으로 인한 포괄손익계산서
https://www.mk.co.kr/news/economy/view/2020/12/1315624/
네이버, 라인·야후 경영통합 가속화…라인플러스 지분 취득(종합)
4천454억원 규모…내년 3월께 지분 관계 정리 마무리
www.mk.co.kr
라인 지분 구조 변화
5. 4Q20 예상 매출 및 영업 이익
4분기는 이미 실적이 발표되었으므로 그대로 적겠습니다.
네이버 4분기 실적
- 매출 15,126억
- 영업이익 3,238억
6. 결론
19년 초 23.5의 멀티플에서 21년 현 주가 기준 51.43(라인 제외)~58.54(라인 포함)의 멀티플을 받고 있습니다. 한동안 정체되어 있던 네이버는 커머스와 핀테크 쪽으로 덩치를 키우면서 다시 성장세에 대한 기대가 부각되고 있습니다.
라인의 분할로 매출이 떨어졌어야 하나 오히려 분할 이후에도 분할 전과 비슷한 수준의 매출을 만들어내며 가시적인 성과를 이뤄 냈습니다.
현재 적자 중인 일본 라인의 성장으로 해당 사업 부문에서 흑자전환 시 큰 기대 이익(쿠팡과 같은)을 염두에 두고 있으며 시장 지배적인 위치를 통해 지속 성장 중인 커머스와 핀테크 쪽의 성장폭에 따라 향후 2~3년의 주가 변동이 크게 올 확률이 높습니다.
다만 이번 라인과 야후의 합병 후에 해당 지분이 지분법상 다시 진입할 시기가 되면 영업이익의 손실이 잡힐 확률이 있기 때문에 단기 영업이익의 하락이 2분기에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장점
- 한국 시장에서의 독점적인 위치
- 커머스 및 핀테크 시장 규모 확대
- 높은 영업이익률과 영업이익
단점
- 높아진 멀티플
- 일본 사업의 흑자 전환 및 라인을 통한 수익원 창출 필요
네이버 주가
21년 3월 12일 기준가 380,500원
영업이익 1.4조 달성 시 499,000원
매출 8조 달성+영업이익률 20% 시 570,000원
* 상기 의견은 개인적인 분석에 따른 의견입니다.
'미디어와서비스_이커머스_게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리아센터_290510> 재무제표 기반 주가 분석 (0) | 2021.06.11 |
---|---|
<비트컴퓨터_032850> 재무제표 기반 주가 분석 (0) | 2021.06.07 |
<예스24_053280> 재무제표 기반 주가 분석 (0) | 2021.05.28 |
<네오위즈_095660> 재무제표 기반 주가 분석 (0) | 2021.04.21 |
<카카오_035720> 재무제표 기반 주가 분석 (0) | 2021.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