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컨설턴트입니다.
오늘 새벽 4시부터 진행된 FOMC 결과를 요약합니다. 오늘은 파월 의장의 세부 발표 내역을 따져볼 필요도 없습니다. 점도표 한 장으로 모든 게 설명 가능 합니다.
- 점도표

점도표 상 가장 중요한 것이 현재와 첫 해였습니다.
현재는 여기가 고점이냐 아니냐를 판가름하는 지점으로 예상치(5.4%)가 현 금리(5.5%) 보다 낮으므로 더 이상 인상이 없다고 사실상 선언한 것이나 마찬가지입니다.
두 번째는 첫 해 금리입니다. 향후 금리 인하 속도를 알 수 있는 도구로 내년 12월까지 기존 5.1% 대비 50bp가 낮은 4.6%를 선언하였습니다. 이는 내년에 기존 예상보다 최소 2번 이상의 추가 인하를 하겠다는 뜻이니 단기간에 금리 인하 속도를 올리겠다는 내용입니다.
위 두 가지 지표로 우리는 FED의 중요한 의사 결정을 알 수 있게 됐습니다. 긴축으로 인한 경기 침체를 우려하고 있다는 점이지요. 물론 아직 미국 경제는 강력합니다만 제가 앞서 쓴 글에서 언급했듯이 고점 금리 유지 기간이 길어지면 경기 침체가 발생하고 이는 연착륙이 아닌 경착륙이 됩니다. 연준의 목표와 부합하지도 않고요.
- 결론

채권 수익률이 말합니다.
금리 인하는

반응형
'거시 경제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년6월 FOMC Review 및 향후 경제 전망 (0) | 2023.06.15 |
---|---|
23년 2월 CPI결과(YoY 6.0%)와 향후 경제 전망 (4) | 2023.03.15 |
FOMC 금리 결정 및 이후 지수 방향 (2) | 2022.09.21 |
외국인 금융 시장 동향(달러 및 자본 유출)과 한미 금리 역전이 주는 문제점 (5) | 2022.08.25 |
가짜 뉴스에 속지 말자 (상장사 재고 자산 급증, 영업 이익 감소) (0) | 2022.08.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