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컨설턴트입니다.
작년 말부터 지금까지 지속적으로 문제 제기가 되고 있는 장단기 금리 역전이 최근까지도 뉴스로 이슈가 되었습니다.
이 문제에 대해 차근차근 하나씩 짚어가며 보겠습니다.
1. 장단기 금리가 뭐지?
장단기 금리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주장이 있으나 제일 기본 베이스는 아래와 같습니다.
단기 : 미국채 2년 물의 채권 "수익률" (본문에서는 줄여서 미국채 2년 물이라 칭합니다.)
장기 : 미국채 10년물의 채권 "수익률" (본문에서는 줄여서 미국채 10년 물이라 칭합니다.)
채권의 "가격"과 채권의 "수익률"은 개념이 다릅니다. 이 개념에 대해 보고 싶은 분은 아래 글을 먼저 읽고 보시는 걸 추천합니다.
https://ekfquf2420.tistory.com/51?category=889790
국채금리 상승 무슨 뜻이고 어떤 시그널인가?
네이버 블로그에서 2/26에 작성한 글입니다. 안녕하세요 컨설턴트입니다. 오늘은 국채 금리의 상승을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정책 금리 VS 시장 금리 미국 연준 의장은 금리
ekfquf2420.tistory.com
2. 장단기 금리 역전은 뭐지?

위 사진의 하늘색 선이 미국채 2년 물이고 붉은색이 미국채 10년 물입니다. 21년 12월부터 미국 시장에서 인플레이션과 금리 인상을 운운하며 미리 힘 빼기를 시작했고 이는 월가가 2월에 터진 우크라이나 사태를 미리 알고 있었다는 추정을 하게 됩니다. 돈놀이하는 친구들이 원래 정보에 빠릅니다.
보시면 21년 12월에 일시적인 역전이 일어났다가 1월 중순부터 4월 초까지 미국채 2년 물이 미국채 10년 물보다 금리가 높습니다. 일반적인 상식에 의거해보면 돈을 길게 빌려주는 게 돈을 짧게 빌려주는 것보다 금리(이자율)가 높습니다. 아래와 같이 말이지요.

근데 2년 돈 빌리는 금리가 10년 돈 빌리는 금리보다 비싸게 된 겁니다. 돈 빌리는 기간이 8년씩이나 차이가 나는데도 2년 물의 금리가 더 높게 되는 경우는 어떤 게 있을까요? 바로 둘 중에 하나입니다.
1. 단기 위험도 증가
2. 장기 성장률에 대한 비관
보통 2만 강조하지 1은 강조하지 않습니다.
3. 그럼 이번의 3개월간 장단기 금리 역전은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가?
일반적으로 장단기 금리 역전이 발생하면 경기 침체의 지표라고 합니다. 위의 2번 케이스이지요. 하지만 이건 이론일 뿐 법칙이 아닙니다. 그래서 관련된 글들을 보면 "통상적"이라 표현하는 겁니다. 바로 1의 케이스가 있기 때문입니다.
이번 장단기 금리 역전의 떡밥은 3가지가 있습니다.
ㄱ. 금리가 인상되면 주가가 떨어진다.
월가가 하는 뻔한 거짓말 중 하나로 공황에 가까운 문제가 생겼을 때 제로 금리로 유지하다 경제가 "회복"되는 지표가 나오기 시작하면 당연히 정상 금리 수준으로 올려야 합니다. 아픈 사람이 중환자실에 있다가 일반 병실로 가고, 일반 병실에 있다가 퇴원하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회복된 환자가 계속 중환자실에 있으면 다른 문제가 발생하게 됩니다. 그게 바로 두 번째 설명할 인플레이션입니다.
ㄴ. 인플레이션이 "극심"하다.
2는 또다시 2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 1과 연결된 저금리가 유발한 인플레이션
- 3과 연결된 에너지가 유발한 인플레이션
우선 저금리 상태가 되면 시중에 돈이 많이 풀리고 돈이 많이 풀리면 당연히 돈의 가치가 하락(현물의 가치가 상승)하게 됩니다. 이 상태를 우리는 인플레이션이라 합니다. 이때 자산의 버블이 생기는데 각 국의 중앙은행은 이 수준을 조절하기 위해 금리를 도구로 사용합니다.
두 번째 우크라이나 사태와 연결된 에너지, 즉 원유와 천연가스가 유발한 인플레이션입니다. 에너지가 인플레이션 지표의 "변동성"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입니다.
ㄷ. 우크라이나 사태
이전에 썼던 글로 설명을 추가합니다. 저기에는 원유만 썼지만 천연가스 또한 주요 에너지 지표로 봐야 합니다.
https://ekfquf2420.tistory.com/158
인플레이션을 잡을 키 포인트, 이란 제재 해제
안녕하세요 컨설턴트입니다. 현재 인플레이션 문제로 인해 금리 인상 시기가 빨라질 것이라는 예측으로 시장 상황이 나쁩니다. 그렇다면 아래 내용을 차례차례 짚어보면서 왜 인플레이션이 문
ekfquf2420.tistory.com
4. 결론
이번 장단기 금리 역전은 경기 침체의 지표가 아닌 단기 위험도 증가에 따른 역전이라 봐야 합니다. 변수라 하면 우크라이나 사태의 장기화이나 이에 대한 대비책은 몇 가지 카드가 있기 때문에 전 세계적인 경기침체를 유발할 수준은 아닙니다.
90년대의 IT버블, 08년도의 MBS를 기반으로 하는 유동화 증권 시장이 촉발한 금융 위기 등과는 상황이 다르며 오히려 코로나의 회복기와 많은 기업들의 건전한 회복, 그리고 고용의 증가로 인해 경제는 완만하게 회복할 것이라 봅니다.
미 금리는 3%까지 23년 말 또는 24년 초까지 올라갈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그 사이 우크라이나 사태 해결과 이란 제재 해제 등으로 원유는 60~70$대에서 하락 안정화를 할 겁니다.
투자의 관점에서 보면 미국의 정책 금리가 2%를 돌파하는 시점에서는 위험 자산의 비중을 줄이는걸 저 개인적으로 목표하고 있습니다. 지금은 저평가 구간, 즉 투자를 해야 할 시점입니다.
'거시 경제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짜 뉴스에 속지 말자 (상장사 재고 자산 급증, 영업 이익 감소) (0) | 2022.08.21 |
---|---|
CPI와 인플레이션, 물가의 정점을 지나다. (0) | 2022.08.11 |
원유(WTI 기준)가 87$까지 하락한 이유가 뭘까? (0) | 2022.08.05 |
빅쇼트(Big short) 진짜 오나요? (0) | 2022.05.14 |
FOMC 5월 성명서 전문 (0) | 2022.05.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