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컨설턴트입니다.
우선 안내 말씀 먼저 드립니다.
이 내용은 정치적 성향과 상관없이 보시길 권장합니다.
본인 정치 성향이 국힘이든 민주당이든 돈은 그런 거 안 따지거든요.
https://news.joins.com/article/24100789
"만장일치로 한국 선진국 됐다"…정부, 이젠 '이 청구서' 받는다
UNCTAD가 개도국에서 선진국으로 지위를 바꾼 나라는 한국이 처음이다.
news.joins.com
위 기사가 얼마나 멍청한 뉴스인지 먼저 설명을 하겠습니다.
우선 선진국이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내가 스스로 "야! 나는 선진국이니 앞으로 선진국으로 불러줘, "하면 될까요? 아닙니다. 바로 모두의 인정을 받아야만 선진국이 됩니다. 위 기사에 따르면 개도국의 이점을 버리고 선진국이 되었으니 그 비용을 치러야 한다고 나와 있습니다. 이에 대해 주식쟁이가 MSCI 관점에서 한번 반박을 해 보겠습니다.
1. MSCI 지수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106210169i
"MSCI 선진국 지수 편입하면 코스피 4000 시대 열린다"
"MSCI 선진국 지수 편입하면 코스피 4000 시대 열린다", 고윤상 기자, 뉴스
www.hankyung.com
6월 말에 저런 뉴스를 각 경제지들이 쏟아 냈습니다. 그건 바로 추종 자금의 규모가 7.25배 차이가 나기 때문입니다.
- 신흥국 추종 자금 규모 : 2조 달러
- 선진국 추종 자금 규모 : 14조 5,000억 달러
단순히 계산해도 추종 자금이 저 정도로 커지면 한국 주식 시장에 유입될 자금의 규모가 넘사벽이 됩니다. 최근 몇 년간 리밸런싱이라는 이유로 유출되었던 몇 십조에도 흔들리던 시장에 몇 배의 자금이 유입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2. DM(선진국) 리스트
선진국 리스트는 아래와 같습니다.
리스트 내 비중은 아래와 같습니다.
2Q21 기준 국가별 비중은 아래와 같습니다. 위의 할당치 와 달라진 이유는 코로나로 인해 유럽 국가들이 타격을 크게 입었기 때문이라 추정합니다.
3. EM(신흥국) 리스트
EM 리스트는 아래와 같습니다.
아래 표를 보면 대만보다도 취급을 못 받고 있습니다. 대만의 TSMC 주가가 오르면서 영향을 받았을 거라 추정합니다.
4. 결론
이제 MSCI 선진국 지수 쪽으로 편입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지고 있다는 겁니다. 대한민국과 캐나다가 비슷한 수준으로 평가받으니 3% 내외의 자금, 즉 4,350억 달러(약 498조)의 자금이 들어와야 합니다. 현재 EM 마켓 비중 13.22%의 자금, 2,644억 달러(약 302조)가 한국에 들어와 있으니 차액인 1706억 달러(약 197조)의 자금이 순 유입(리밸런싱)이 될 가능성이 생긴 겁니다.
물론 위의 3%는 단순 GDP 기준입니다만 최소 선진국 지수 기준 2~2.5%의 자금이 유입될 가능성이 높고 그렇다면 차액(최소 30조~113조)은 순 유입이 될 가능성이 높다는 겁니다.
개미들도 꾸준히 주식시장으로 자금이 들어오고 있는데 저 자금까지 유입되면 결국 시장은 코스피 기준 최소 4,000에 수렴할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그 위로도 갈 확률이 높다라는 것입니다.
http://www.inews24.com/view/1383383
한-네덜란드 '반도체 협력' 더 키운다…장비 생산력+제조 강점 접목
네덜
www.inews24.com
언론에서 다뤄주질 않아 잘 모르시겠지만 정상회담에서 저런 논의가 오갔고 올해 5월에는 ASML이라는 세계 굴지의 반도체 장비 제조 회사(슈퍼을)가 한국에 2,400억 규모의 추가 투자를 결정했습니다.
https://www.asiae.co.kr/article/2021051610041820669
K반도체 전략에 등장한 '슈퍼을' ASML…국내 투자에 기대되는 것
세계 최대 반도체 노광장비 기업인 네덜란드 ASML이 최근 정부가 발표한 'K반도체 전략'에 등장했다. 경기도 화성에 첨단 극자외선(EUV) 클러스터를 조성하기 위해 2400억원 규모의 투자와 300명 채
www.asiae.co.kr
돈에는 국적도 국경도 이념도 없습니다. 정치 이념에 매몰되서 현실을 직시 못하면 위의 바보 같은 기사를 보고 잘못된 해석을 해서 투자 기회를 놓칠 수 있습니다.
'주요 뉴스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월의 연설 내용 중 주목해야 할 부분 (0) | 2023.02.08 |
---|---|
OCI 인적분할, 호재인가 악재인가? (0) | 2022.11.27 |
대만 중국(양안) 전쟁 날 가능성이 얼마나 될까?(낸시 팰로시 대만 방문) (0) | 2022.08.02 |
MSCI 선진 지수 편입 실패(관찰 대상국 등재 실패) (0) | 2022.06.24 |
인플레이션을 잡을 키 포인트, 이란 제재 해제 (0) | 2022.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