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월_주간 시장 분석 70

2024년 1주차 주요 국가 경제 이벤트 일정

안녕하세요 컨설턴트입니다. 2024년의 1주 차 주요 국가 경제 이벤트 일정입니다. 1. 연방공개시장위원회 회의록 연준의 회의록이 발표됩니다. 피봇을 목전에 둔 만큼 작은 표현에도 크게 시장이 반응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2. 실업수당청구건수(USD) 큰 기조의 변화가 없으므로 한동안은 영향을 줄 지표가 아닙니다. 3. 소비자물가지수(EUR-YoY)(12월) 소비자 물자 지수가 11월 대비 0.6% 상승 예정으로 그간의 추세에 반하는 모습을 일시적으로 보여줄 예정입니다. 향후 에너지 가격의 모니터링이 필요한 이유기도 합니다. 4. 국내 선물 동향 외인들이 2주중 이틀을 제외한 나머지 거래일 모두 매수 포지션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는 상승 또는 보합을 유지할 가능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습니다.

2023년 52주차 주요 국가 경제 이벤트 일정

안녕하세요 컨설턴트입니다. 2023년의 마지막 주차인 52주 차 주요 국가 경제 이벤트 일정입니다. 23년 마지막 주간이라 큰 이벤트가 없이 지나갈 예정입니다. 1. 실업수당청구건수(USD) 실업수당청구건수는 지난주와 비슷한 200K 언저리에서 유지 중입니다. 큰 기조의 변화가 없으므로 한동안은 영향을 줄 지표가 아닙니다. 2. 국내 선물 동향 1주간 외인들의 선물 매수세가 아주 강합니다. 현재 추세로 봤을 때 큰 폭의 하락보다 보합 또는 상승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2023년 51주차 주요 국가 경제 이벤트 일정

안녕하세요 컨설턴트입니다. 2023년 51주 차 주요 국가 경제 이벤트 일정입니다. 미국 만기일 이후 큰 이벤트가 없는 주간입니다. 마지막 주까지 선물 흐름 모니터링 정도해보면 좋을 시기입니다.1. 소비자물가지수(EUR)MoM, YoY 모두 인플레이션이 꺾이고 있음을 보여 줍니다.2. GDP(USD)미국의 GDP는 5.2%라는 놀라운 예상치를 기대하고 있습니다.3. 실업수당청구건수(USD)실업수당청구건수는 200K 언저리에서 유지 중입니다. 큰 기조의 변화가 없으므로 한동안은 영향을 줄 지표가 아닙니다.4. 국내 선물 동향이틀치라 중요한 의미를 부여할 수준은 아닙니다만 외인들이 초반 매수 우세로 진행 중입니다. 다음 주까지 누적 현황을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습니다.

2023년 50주차 주요 국가 경제 이벤트 일정

안녕하세요 컨설턴트입니다. 2023년 50주 차 주요 국가 경제 이벤트 일정입니다. 이번주는 굵직한 이벤트가 많은 주입니다. 화요일 CPI발표를 시작으로 목요일에는 연준의 성명서와 점도표 발표, 한국 주식 시장의 선물옵션 동시 만기일, 유로 금리, 미국의 실업수당청구 발표가 있습니다. 1. 소비자물가지수(USD) 우선 소비자물가지수(USD)를 보면 전월 대비 변화가 없고 전년 대비 0.1% 정도 줄어들며 근원의 경우 전월 대비 0.1%가 오르는 걸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예상치 대비 큰 폭의 차이가 난다면 모르겠으나 그렇지 않다면 시장에 주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합니다. 2. 연준의 점도표 제로금리 이후 이전 분기 발표 대비 변화가 없을 것으로 예상되는 첫 분기가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즉 금리의 ..

CPI 발표 결과와 향후 경제 전망

안녕하세요 컨설턴트입니다. CPI 발표 결과 긍정적인 지표들이 나왔습니다. 혹시 모를 분들을 위해 주석을 달자면 MoM : 전월 대비 YoY : 전년 동월 대비 1. 인플레이션 동향 제가 9월 22일에 작성한 FOMC Review 글을 참고해보면 연준(FED)이 매우 상식적인 예측치를 발표했고 약 1달의 Gap이 발생했지만 그 결과대로 인플레이션이 움직이고 있다 판단할 수 있습니다. https://ekfquf2420.tistory.com/m/186 FOMC 결과 리뷰 안녕하세요 컨설턴트입니다. 오늘 새벽 FOMC 발표 후 시장 움직임을 보면 상당히 흥미로운 결과가 관찰됩니다. https://ekfquf2420.tistory.com/185 어제 올려드린 글에 나온 내용과 거의 유사한 내용의 발 ekfquf..

FOMC 결과 리뷰와 인플레이션 예측

안녕하세요 컨설턴트입니다. 오늘 새벽 FOMC 발표 후 시장 움직임을 보면 상당히 흥미로운 결과가 관찰됩니다. https://ekfquf2420.tistory.com/185 어제 올려드린 글에 나온 내용과 거의 유사한 내용의 발표가 있었습니다. 1. 금리 인상 75bp 2. 예상 점도표 피크 금리 4.5~4.7% 3. 경기 침체의 가능성 있다. 4. 전쟁으로 인한 서비스 및 물품 가격 상승 5. 인플레이션의 점진적 하락 흥미로운 점은 22년 인플레이션 중앙값을 5.4%에 맞추겠다고 한 것이고 이는 22년 10월부터 23년 9월까지 현 인플레이션 8.3%에서 점진적으로 낮아진다고 FED는 예상하고 있다는 겁니다. 인플레이션 중앙값이란 현시점에서 향후 1년간의 평균 물가를 말합니다. 제가 임의로 값을 넣은 ..

오늘 지수가 반등하는 이유는?

안녕하세요 컨설턴트입니다. 오늘 지수가 반등하는 이유가 뭘까?라고 누가 저한테 물어보면 아래와 같이 이야기 합니다. 외인들의 선물 포지션이 매도에서 매수로 변경됐다. 최근 1500을 간다는 둥 이런 소리가 많아도 주변에 그렇지 않다고 이야기 한 이유도 위와 같습니다. 위 표가 지난 만기일 이후 각 주체 별(개인/외인/기관) 선물의 일일 현황표 입니다. 초기에 외인들이 누적 순매도 1.47조까지 갔다가 어제 순매수 918억, 오늘은 6,172억까지 올라 왔습니다. 얘네들의 요즘 주 돈벌이는 현물이 아닌 선물 옵션을 포함한 파생 상품입니다. 선물 포지션이 전환 되기 전까지 숏(매도)으로 벌다가 반대로 지수 틀면서 매수로 포지션 전환하며 또 돈을 갈퀴로 쓸어담고 있습니다. 이 추세가 유지되는 한 상승 기조는 ..

미장, 롤러코스터 움직임의 이유

안녕하세요 컨설턴트입니다. 오늘 미장이 큰 폭의 하락을 하다 장 마감 반등하며 큰 변동성을 보이며 마감했습니다. 왜 하필 어제 저런 움직임을 보였을까요? 1. 옵션 만기일의 변동성을 이용하여 옵션으로 돈을 벌기 위해 https://ekfquf2420.tistory.com/50?category=889790 지수의 변동이 왜 심할까?(옵션 매매) 안녕하세요 컨설턴트입니다. ​ 외인 및 기관들은 아래 선물 분석에서 설명해 드린 선물 매매로 인한 차익 이외에도 매달 및 매일 돈을 버는 방법이 또 있습니다. 그건 바로 옵션 매매입니다. ekf ekfquf2420.tistory.com 어제가 미국의 두 번째 옵션 만기일입니다. 위 글을 읽어 보시면 됩니다만 대략적으로 설명하면 옵션 만기일에는 옵션의 가격 변동폭이 ..

<코스피 200 선물 주체별 매매 현황> 210623

안녕하세요 컨설턴트 입니다. 코스피 일간 매매 현황 자료를 오늘부터 업데이트 합니다. 짧게는 1달, 길게는 3달간의 대략적인 지수의 방향을 예측할 때 주로 사용하는 도구 입니다. 선물 잔량은 개인 매도, 외인 및 기관 매수 우위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외인이 중간에 방향을 몇번이나 틀면서 손패를 안 보여주는 상황입니다. 선물 만기일 이후 9거래일 동안 외인이 선물의 방향을 4번이나 틀어 놓는 동안 개미들은 코덱스 200 선물 인버스 2X를 1,351억이나 매수 했습니다. 현재까지 추세로 보면 3분기 코스피 지수는 3200 밑으로 내려갈 확률이 점점 낮아지고 있습니다.

21월 4/5/6월 예상 지수 및 방향 분석

네이버 블로그에서 3/26에 작성된 글입니다. 안녕하십니까 컨설턴트입니다. ​ 오늘은 한국 선물 만기일(3/11) 이후 10 거래일 동안의 선물 흐름을 기반으로 단기로는 4/8 한국 옵션 만기일, 장기로는 6/10 한국 선물옵션 만기일까지의 대략적인 흐름을 예측해 보려고 합니다. ​ 기본 개념인 선물을 통한 지수 예측은 2/25에 작성한 아랫글을 한번 보고 오시는 게 좋습니다. https://ekfquf2420.tistory.com/49?category=889790 코스피 200 선물 분석으로 지수의 방향 예측하기 안녕하세요 컨설턴트입니다. ​ 오늘은 선물의 흐름을 분석하여 지수의 방향을 예측하는 걸 설명해 보겠습니다. 선물과 옵션의 상세 설명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 부탁드립니다. https://www.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