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월_주간 시장 분석 70

2024년 14주차 주요 국가 경제 이벤트 일정

안녕하세요 컨설턴트입니다. 2024년 14주 차 주요 국가 경제 이벤트 일정입니다. 이번 주는 큰 이벤트 없는 한 주입니다. 1. 소비자물가지수(EUR-YoY, MoM)(2월) 유로존의 소비자물가지수 지표가 발표됩니다. 이전 대비 약간의 개선(0.1%)이 예상됩니다. 2. 근원 소비자물가지수(EUR-YoY, MoM)(2월) 근원 CPI는 또한 전년 대비 0.1%의 개선이 예상됩니다. 3. 파월의장 연설 스탠퍼드대 경영대학원 행사에서 경제전망을 주제로 연설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4. 국내 선물 동향 만기일 이후 외인들이 선물을 매수 중심으로 지주 상승과 함께 시장을 견인하고 있습니다. 5. 60일간 외인 현물 매매 동향(코스피, 코스닥) - 코스피 2주 동안 다시 삼성전자와 하이닉스를 폭풍 매수한 외국인들..

2024년 12주차 주요 국가 경제 이벤트 일정

안녕하세요 컨설턴트입니다. 2024년 12주 차 주요 국가 경제 이벤트 일정입니다. 1. 소비자물가지수(EUR-YoY, MoM)(2월) 유로존의 소비자물가지수 지표가 발표됩니다. 전년 대비는 좋으나 전월 대비 CPI 지표가 나쁩니다. 2. 근원 소비자물가지수(EUR-YoY, MoM)(2월) 근원CPI는 또한 전년 대비는 긍정정이나 전월대비는 나쁜 지표가 예상됩니다. 3. 미국 금리결정 및 연준 성명서 발표 금리는 동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연준에서 어떤 성명서를 낼지 지켜봐야 합니다. 4. 점도표 현재 추세를 봤을 때 점도표는 아래와 같이 나올 거라 저는 예상합니다만 실제 발표 결과를 지켜봐야 합니다. 첫해(2025년) 1분기 : 4.6~4.7% 두 번째 해(2026년) 1분기 : 3.6% 장기(2..

2024년 11주차 주요 국가 경제 이벤트 일정

안녕하세요 컨설턴트입니다. 2024년 11주 차 주요 국가 경제 이벤트 일정입니다. 1. 소비자물가지수(USD-YoY, MoM)(2월) 6월 금리 인하의 변곡점 지표가 될 수 있는 CPI가 발표됩니다. YoY는 동등, MoM은 소폭 상승한 0.4%가 예상됩니다. 2. 근원 소비자물가지수(USD-YoY, MoM)(2월) 근원CPI는 CPI와 다르게 예상치가 이전보다 낮게 나올 예정입니다. 요즘 연준에서 중요하게 보는 포인트이므로 긍정적입니다. 3. 국내 선물 동향 외국인들은 1월 중순 이후로 선현물을 동반 매수하며 지수 상승을 견인하고 있습니다. 이 추세대로 마무리된다면 다음 분기가 기대될 수밖에 없습니다. 4. 선물 옵션 동시 만기일(네마녀의 날) 다음 주 목요일인 3월 14일은 선물옵션 동시 만기일입니..

2024년 10주차 주요 국가 경제 이벤트 일정

안녕하세요 컨설턴트입니다. 2024년 10주 차 주요 국가 경제 이벤트 일정입니다. 1. GDP (KOR-QoQ)(4분기) 이전 분기 대비 0.8% 상승한 2.2%를 예상하고 있습니다. 2. FED 의장 파월 증언(목 / 금) 파월 의장이 의회에 출석하여 반기 통화 정책에 대해 증언합니다. 현재 기조를 그대로 이어가는 발언을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3. 금리결정(EUR)(3월) 금리 동결이 확실시 됩니다. 4. GDP(EUR-YoY, QoQ) 이전 대비 0.1%씩 GDP가 개선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5. 국내 선물 동향 선물 옵션 동시만기일이 2주 남은 상태로 일부 차익 실현 물량이 나올 가능성이 있습니다. 즉 코스피는 횡보 가능성이 높습니다. 7. 60일간 외인 현물 매매 동향(코스피, 코스닥) - 코..

2024년 7주차 주요 국가 경제 이벤트 일정

안녕하세요 컨설턴트입니다. 2024년 7주 차 주요 국가 경제 이벤트 일정입니다. 1. 소비자물가지수[CPI] (USD-YoY, MoM) MoM은 유지, YoY가 다시 2%대로 내려갈지가 관건입니다. 2. 근원 소비자물가지수[근원 CPI] (USD-MoM) 특별한 변동 없이 전원 대비 동등 수준인 0.3%를 예상하고 있습니다. 3. GDP(EUR-YoY, QoQ) 큰 변동은 없으나 QoQ가 이전 대비 약간 상향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4. GDP(JPY-YoY, QoQ) 최근 일본 지수가 전고점을 갱신하면서 일본 경제가 좋다는 의견을 몇몇 사람들이 주장하고 있어 가져와 봤습니다. 보시다시피 여전히 마이너스로 나쁜 수준입니다. 5.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 CPI와 마찬가지로 주요 지표로 분류하고 있습니다만 점..

2024년 6주차 주요 국가 경제 이벤트 일정

안녕하세요 컨설턴트입니다. 2024년 6주 차 주요 국가 경제 이벤트 일정입니다. 1. FED 의장 파월 연설 비정기 연설이 갑자기 잡혀 어떤 이야기를 할지 궁금합니다. 2.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 CPI와 마찬가지로 주요 지표로 분류하고 있습니다만 점점 영향력을 잃어가고 있습니다. 이전과 유사 수준입니다. 3. 국내 선물 동향 지난주 큰 폭의 선물 및 현물 동시 매수로 지수를 반등시켰습니다. 이번주 목요일은 한국의 옵션만기일로 큰 폭의 변동성이 예상됩니다.

2024년 5주차 주요 국가 경제 이벤트 일정

안녕하세요 컨설턴트입니다. 2024년 5주 차 주요 국가 경제 이벤트 일정입니다. 1. GDP(EUR-YoY, QoQ)(4분기) 우크라이나 전쟁과 고금리의 여파로 여전히 회복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 추세가 장기화되면서 유로존의 잠재력을 크게 깎아 먹고 있습니다. 2. 금리결정(USD)(1월) 동결을 예상하고 있습니다만 빠르면 1분기, 늦어도 2분기부터 인하를 시작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3. 연방공개시장위원회 성명서 및 FOMC 기자회견 금리가 동결될 것은 모두 예상하고 있었습니다. 다만 인하의 시기가 언제냐의 힌트를 얻기 위해 많은 시장 참여자들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4. 소비자물가지수(EUR-MoM), 근원 소비자물가지수(EUR-YoY) 이전 대비 유사 수준으로 진행 중이며 큰 영향을 줄 지표가 아닙..

2024년 4주차 주요 국가 경제 이벤트 일정

안녕하세요 컨설턴트입니다. 2024년 4주 차 주요 국가 경제 이벤트 일정입니다. 1. GDP(KOR-YoY, QoQ)(4분기) YoY는 전년도 대비 상승하여 2.5%, QoQ는 전분기 대비 0.1% 하락하는 것으로 예상되어 있습니다만 별 의미가 없습니다. 대중, 대러 무역 감소와 적자, 정책의 실패, 선거를 앞두고 늘 나오는 북풍 전략으로 지수는 하락 횡보를 거듭하고 있습니다. 2. 금리결정(EUR)(1월) 동결을 예상하고 있습니다만 빠르면 1분기, 늦어도 2분기부터 인하를 시작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3. GDP(USD-QoQ)(4분기) GDP가 이전 분기 대비 큰 폭으로 하락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금리 인하 시기에 대해 왈가왈부가 많으나 빠른 인하에 무게추를 실어 줄 수 있는 지표가 되겠습니다. 4...

2024년 3주차 주요 국가 경제 이벤트 일정

안녕하세요 컨설턴트입니다. 2024년 3주 차 주요 국가 경제 이벤트 일정입니다. 1. 근원 소비자물가지수 및 소비자물가지수(EUR-YoY, EUR-MoM)(12월)3가지 모두 이전 대비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미국 또한 마찬가지로 CPI 반등의 이유를 보면 여러 가지 추정 이유가 있습니다만 크게 눈에 띄는 변수가 없습니다. 미국과 비슷하게 스쳐 지나가는 지표가 되겠습니다.2.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CPI와 마찬가지로 주요 지표로 분류하고 있습니다만 점점 영향력을 잃어가고 있습니다. 이전과 유사 수준입니다.3. 미국 옵션 만기일1달을 정리하는 미국 옵션 만기일입니다. 금요일에 다가갈수록 단기 변동성이 커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4. 국내 선물 동향외인들이 1월 3일 이후 10 거래일 연속 매도를 기록하며..

2024년 2주차 주요 국가 경제 이벤트 일정

안녕하세요 컨설턴트입니다. 2024년의 2주 차 주요 국가 경제 이벤트 일정입니다.1. 한국 금리큰 의미가 없는 지표긴 합니다만 2월까진 동결 우세로 점쳐집니다.2. 소비자물가지수(USD-YoY)(12월)두 지표 모두 이전 대비 0.1% 높은 수준으로 예상됩니다. 하지만 다음에 나오는 근원 CPI로 인해 충분히 상쇄 가능한 수준입니다.3. 근원 소비자물가지수(USD-MoM)(12월)근원 소비자물가지수는 일반 CPI와 반대로 하락하는 걸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위 두 지표가 일부 나빠져도 크게 문제가 되지 않을 이유기도 합니다. 4. 국내 선물 동향새해 첫주에는 외인들이 첫 옵션 만기일인 1월 11일을 앞두고 그동안 매수한 선물을 정리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역시 쉽게 가는 법이 없습니다. 만기일인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