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277

2024년 23주차 주요 국가 경제 이벤트 일정

안녕하세요 컨설턴트입니다.2024년 23주 차 주요 국가 경제 이벤트 일정입니다.1. 미국 노동부 JOLTs(4월)노동부에서 발표하는 구인 및 이직 보고서입니다. 국가적 수준의 노동력 수요를 측정하기 위해 고안된 지표로 노동통계국(BLS)이 2만1천 개 사업장 표본에서 추출한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합니다. 금리 인하 전까지 노동 관련 지표들이 중요한 비중으로 모니터링될 예정입니다. 현재는 큰 변동은 없습니다.2. GDP(KOR-QoQ, YoY)(1분기)한국 GDP가 세계적으로 주요지표는 아닙니다. 예상치과 크게 다름없습니다.3. ADP 비농업부문 고용 변환이 지표는 농업을 제외한 미국 민간 부문 전체 직원의 약 20%를 고용하는 40만 개 이상의 민간 기업으로부터 수집된 고용 관련 DATA입니다.4. 금리..

2024년 22주차 주요 국가 경제 이벤트 일정

안녕하세요 컨설턴트입니다.2024년 22주 차 주요 국가 경제 이벤트 일정입니다.1. GDP(USD-QoQ)(1분기)GDP가 크게 꺾이는 예상치는 금리 인하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2. 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약간이나마 나빠지는 결과 또한 금리 인하에 긍정적인 시그널입니다.3. 소비자물가지수(EUR-YoY, MoM)(5월)CPI는 기준이 되는 2.4% 언저리에서 유지하고 있습니다. 유럽은 기존 스탠스대로 6월에 조기 인하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4. 국내 선물 동향5월24일 선물 1조 매도를 통해 지수 상승을 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보여준 한 주입니다. 5. 60일간 외인 현물 매매 동향(코스피, 코스닥)코스피, 코스닥 모두 지난 주 대비 특이점이 없습니다.

2024년 21주차 주요 국가 경제 이벤트 일정

안녕하세요 컨설턴트입니다.2024년 21주 차 주요 국가 경제 이벤트 일정입니다.1. FED 의장 파월 연설조지타운 로스쿨 졸업식에 참석해 연설을 할 예정이었으나 코로나 확진으로 녹화 영상으로 대체합니다.2. 연방공개시장위원회 회의록연준 회의록이 공개됩니다. 금리 인하의 시그널이 나올지 주목될 이벤트입니다.3. 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한동안 별 볼 일 없는 지표였다 최근 금리 인하 시점을 관망하기 위한 중요 지표로 다시 떠올랐습니다. 전월과 비슷한 수준이 예상되고 있습니다.4. 국내 선물 동향한국 미국 옵션 만기일 주간을 지나가며 큰 변화를 보여주지 않았습니다. 이번주부터 어떤 움직임을 보여줄지 지켜봐야 합니다. 코스피가 2800을 넘을지 말지 이번주에 방향성을 보여줄 가능성이 높습니다.5. 60일간 외인 현..

2024년 20주차 주요 국가 경제 이벤트 일정

안녕하세요 컨설턴트입니다.2024년 20주 차 주요 국가 경제 이벤트 일정입니다.1. GDP(EUR-YoY, QoQ)유로존은 최근 완만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주요국의 지수도 사상 최고치를 돌파하고 있습니다.2. 소비자물가지수(USD-YoY, QoQ),근원 소비자물가지수(USD-YoY,QoQ)CPI 및 근원 CPI도 살짝 개선됨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6월 혹은 하반기 초반 금리 인하의 주요 지표 중 하나가 되겠습니다.3. 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한동안 별 볼 일 없는 지표였다 최근 금리 인하 시점을 관망하기 위한 중요 지표로 다시 떠올랐습니다. 지난달 깜짝 수준인 231K였는데 이번달에 얼마나 청구건수가 늘어나느냐도 중요 관전 포인트가 되겠습니다.4. 소비자물가지수(EUR-YoY, QoQ), 근원유로존도..

2024년 19주차 주요 국가 경제 이벤트 일정

안녕하세요 컨설턴트입니다. 최근 2주 컨디션이 나빠 글을 못 올렸습니다. 2024년 19주 차 주요 국가 경제 이벤트 일정입니다. 매우 드문 큰 이벤트 발표가 없는 한주가 되겠습니다.1. 이란 - 이스라엘 전쟁 위기휴전 이야기가 나오고 있으나 마지막까지 여러 변수가 보이고 있습니다. 5월 내에 마무리 될 가능성이 높은 이슈로 보고 크게 중점을 둘 분야가 아니라 판단 합니다.2. 국내 선물 동향거시에 민감한 외인들이 강력한 매도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만 지수 하락은 크지 않습니다.3. 60일간 외인 현물 매매 동향(코스피, 코스닥)코스피는 삼성전자를 2.1조 매도하였으나 하이닉스를 3천억 추가 매수하며 균형을 맞추고 있습니다. SDI, 셀트리온을 매도하고 기아는 다시 매수를 하였습니다. 코스닥은 큰 변화는 ..

2024년 16주차 주요 국가 경제 이벤트 일정

안녕하세요 컨설턴트입니다. 2024년 16주 차 주요 국가 경제 이벤트 일정입니다. 1. FED 의장 파월 연설 워싱턴 DC에서 열리는 워싱턴 포럼에서 캐나다 경제를 주제로 연설합니다. 2. 소비자물가지수(EUR-YoY, MoM)(3월) YoY는 내리고 MoM은 살짝 높아지는 결과를 예상하고 있습니다. 3. 근원 소비자물가지수(EUR-YoY, MoM)(3월) 근원 CPI도 YoY는 내리고 MoM은 낮아지는 결과를 예상하고 있습니다. 4. 이란 - 이스라엘 전쟁 위기 이 사태로 인해 원유가가 오르고 시장에 불안감을 조성하고 있습니다. 다만 두 국가는 국경이 인접해 있지 않아(시리아 및 이라크가 막고 있음) 직접적인 전쟁 위험은 매우 낮습니다. 이스라엘의 현 집권 세력인 네타냐후가 극우 성향에 낮은 지지율로..

2024년 15주차 주요 국가 경제 이벤트 일정

안녕하세요 컨설턴트입니다. 2024년 15주 차 주요 국가 경제 이벤트 일정입니다. 1. 소비자물가지수(USD-YoY, MoM)(3월) YoY는 오르고 MoM은 살짝 낮아지는 결과를 예상하고 있습니다. 2. 근원 소비자물가지수(USD-YoY, MoM)(3월) 근원 CPI는 반대로 YoY는 내리고 MoM은 살짝 높아지는 결과를 예상하고 있습니다. 두 지표를 볼 때 예상치를 하회한다면 6월 인하가 시작될 것이고 예상치에 적합 또는 상회한다면 금리 인하 시기가 지연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3. 연방공개시장위원회 회의록 모든 경제 주체들이 금리 인하의 시그널을 확인하기 위해 이번 한 주간 가장 주의 깊게 볼 내용입니다. 4. 금리결정(EUR)(4월) 유럽은 CPI 지표가 긍정적이나 아직 금리 인하를 즉시 할 시기..

주식공부(경제공부) 어떻게 시작하면 될까?

안녕하세요 컨설턴트입니다. 최근 이런 질문을 자주 받다 보니 저 스스로도 정리해서 알려 드릴 필요가 느껴져 작성해 보는 글입니다. 1. 처음에는 뭘 공부하면 좋을까요?무슨 투자를 하든 1순위는 멘탈과 투자 원칙입니다. 멘탈이 약하면 외부 요소에 의해 마음이 흔들리고 마음이 흔들리면 내가 목표한 지점까지 가지 못 합니다. 대부분의 투자자들이 5%, 10% 많이 해봐야 20% 차익 실현하면 파는 이유이며, -1%,, -5% 많이 빠져봐야 -10% 지점에서 성급하게 물타기도 아닌 비중 확대를 하다 여유 자금 부족으로 진짜 좋은 기회에 추가 투자를 못 합니다. 그러면 뭘 공부해야 멘탈이 생기고 원칙이 생길까요? 저는 무조건 이 책들을 추천합니다. 바로 유럽계 전설적인 투자자 앙드레 코스톨라니의 책입니다.(코멘)..

경제공부 2024.04.04

2024년 14주차 주요 국가 경제 이벤트 일정

안녕하세요 컨설턴트입니다. 2024년 14주 차 주요 국가 경제 이벤트 일정입니다. 이번 주는 큰 이벤트 없는 한 주입니다. 1. 소비자물가지수(EUR-YoY, MoM)(2월) 유로존의 소비자물가지수 지표가 발표됩니다. 이전 대비 약간의 개선(0.1%)이 예상됩니다. 2. 근원 소비자물가지수(EUR-YoY, MoM)(2월) 근원 CPI는 또한 전년 대비 0.1%의 개선이 예상됩니다. 3. 파월의장 연설 스탠퍼드대 경영대학원 행사에서 경제전망을 주제로 연설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4. 국내 선물 동향 만기일 이후 외인들이 선물을 매수 중심으로 지주 상승과 함께 시장을 견인하고 있습니다. 5. 60일간 외인 현물 매매 동향(코스피, 코스닥) - 코스피 2주 동안 다시 삼성전자와 하이닉스를 폭풍 매수한 외국인들..

2024년 12주차 주요 국가 경제 이벤트 일정

안녕하세요 컨설턴트입니다. 2024년 12주 차 주요 국가 경제 이벤트 일정입니다. 1. 소비자물가지수(EUR-YoY, MoM)(2월) 유로존의 소비자물가지수 지표가 발표됩니다. 전년 대비는 좋으나 전월 대비 CPI 지표가 나쁩니다. 2. 근원 소비자물가지수(EUR-YoY, MoM)(2월) 근원CPI는 또한 전년 대비는 긍정정이나 전월대비는 나쁜 지표가 예상됩니다. 3. 미국 금리결정 및 연준 성명서 발표 금리는 동결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연준에서 어떤 성명서를 낼지 지켜봐야 합니다. 4. 점도표 현재 추세를 봤을 때 점도표는 아래와 같이 나올 거라 저는 예상합니다만 실제 발표 결과를 지켜봐야 합니다. 첫해(2025년) 1분기 : 4.6~4.7% 두 번째 해(2026년) 1분기 : 3.6% 장기(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