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264

2024년 36주차 주요 경제 이벤트 일정

안녕하세요 컨설턴트입니다.2024년 36주 차 주요 경제 이벤트 일정입니다. 전반적으로 직전 대비 개선되는 노동 지표로 착각할 수 있습니다만 전반전인 레벨이 낮습니다. 50bp 인하 가능성에 배팅하는 확률이 점점 올라가는 이유입니다.1. 미국 노동부 JOLTs(구인 이직 보고서)(7월)이전 대비 약간 떨어진 수준이라 크게 영향받지 않습니다.2. GDP(KOR-YoY, QoQ)(2분기)전년 대비 동등이나 분기 기준 2분기 연속 마이너스로 들어갈 가능성이 있습니다. 실제 경기 침체가 느껴지는 이유기도 합니다.3. ADP 비농업부문 고용 변화(8월)이전 대비 일부 개선되었으나 6월 이후 약세 상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4. 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USD)230K 언저리에서 유지하고 있습니다. 5. 비농업..

2024년 35주차 주요 경제 이벤트 일정

안녕하세요 컨설턴트입니다.2024년 35주 차 주요 경제 이벤트 일정입니다. 오피스 오류로 2주째 고통받는 중입니다. 작성일 자꾸 지연되고 있음을 양해 부탁 드립니다.드디어 연준에서 공식적인 금리 인하를 선언했습니다. 현재 분위기로는 50bp보다는 25bp의 가능성이 훨씬 높습니다.1. GDP(USD-QoQ)(2분기)미국 버블론을 쏙 들어가게 하는 예상치 2.8%가 예상됩니다. AI가 촉발한 이익이 유틸리티를 포함하여 여러 산업군으로 나눠지고 있습니다. 금리 인하가 시작된 후 소매까지 개선되면 골디락스가 오는 초호황기가 될지도 모릅니다.2. 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USD)230K 언저리에서 유지하고 있습니다. 현재 지표 상 0.5% 인하보다는 0.25% 인하 가능성이 높은 이유기도 합니다.3. 외국인 국내 ..

2024년 34주차 주요 경제 이벤트 일정

안녕하세요 컨설턴트입니다.2024년 34주 차 주요 경제 이벤트 일정입니다.완만한 반등을 한 지난주를 지나 이번주 연방공개시장위원회 회의록과 잭슨홀 심포지엄에서 파월의 연설을 모두 지켜보고 있습니다. 50bp를 인하할지 25bp를 인하할지 암시를 줄 겁니다.1. 연방공개시장위원회 회의록연준의 기조를 볼 수 있는 기회입니다.2. 금리결정(KOR)(8월)최근 뉴스로 헛소리(금리 인하)가 자꾸 나오는데 미국과 동일 금리가 되기 전 인하를 시작하면 그 끝은 큰 불행이 기다리고 있을 것입니다. 한은이 현명한 선택을 하길 바랍니다.3. 잭슨홀 심포지엄 및 파월 연설세계 각국의 중앙은행장들이 모이는 자리입니다. 파월이 어떤 발언으로 힌트를 줄지가 관전 포인트입니다.4. 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USD)230K 언저리에서 ..

2024년 33주차 주요 국가 경제 이벤트 일정

안녕하세요 컨설턴트입니다. 2024년 33주 차 주요 국가 경제 이벤트 일정입니다. 이번주는 CPI 발표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현재 시장은 주요 지표들의 DATA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는데 이는 차익 실현 매물, 엔캐리 트레이드 자금 이동 등으로 심리가 불안하여 추세가 흔들리고 있어서 그렇습니다. 8월 5일 큰 폭의 하락이 있던 날 시장이 붕괴될 것처럼 시끄러웠지만 시장은 다르게 움직이며 바닥을 다지고 있었습니다.1. 소비자물가지수(USD-YoY, MoM)(7월)CPI는 보합을 예상하고 있습니다.2. 근원 소비자물가지수(USD-YoY, MoM)(7월)근원CPI 또한 크게 차이가 없습니다.3. GDP(JPY-YoY, MoM)(2분기)오래간만에 일본 DATA를 가져왔습니다. 전분기 및 전년 동기 대비 개선되..

추세, 가치 투자, 내재 가치 그리고 투자의 기준

안녕하세요. 컨설턴트입니다. 오늘은 가치 투자와 내재 가치에 대해 이야기해 보려 합니다. 개별 종목의 주가를 논하기 전에 투자를 시작하려면 우선 시장의 방향을 읽어야 합니다 지금이 오르는 "추세"인가, 내리는 "추세"인가 말이지요. 이를 통상 거시 경제라 하며 시장의 방향을 뜻하는 말이기도 합니다. 아무리 좋은 종목이 좋은 실적을 내고 있어도 이 추세가 하락세에는 시장과 같이 하락하고 다만 시장 하락세보다 선방하는 결과를 가져옵니다. 반면 아무리 쓰레기 같은 종목이 나쁜 실적을 내고 있어도 추세가 상승세일 때는 주가가 오르며 어떤 경우에는 비이성적인 상승을 보여 줄 때도 있습니다. 후자의 상황일 때 존경해 마지않는 위대한 코스톨라니 선생께서는 이렇게 표현하셨습니다. "시장에 주식보다 바보가 많으면 시장은..

경제공부 2024.08.06

2024년 32주차 주요 국가 경제 이벤트 일정

안녕하세요 컨설턴트입니다. 2024년 32주 차 주요 국가 경제 이벤트 일정입니다. 이번주는 큰 이벤트는 없습니다. 그리고 금리 인하가 코앞에 다가왔습니다. 지난주 ISM제조업 지수로 하락을 만들어 냈는데 중요하게 생각할 필요가 없습니다. 1. 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USD)지난주와 유사하게 서서히 평균이 오르고 있습니다. 금리 인하가 곧 예상됩니다.2. 외국인 국내 선물 동향28주차에 처음 언급했던 아래 내용 이후 지속적인 선현물 매도로 지수가 하락하고 있습니다. 이는 국장뿐만 아니라 미장도 같이 간 결과로 어느 정도 연동되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현 상황은 큰 폭의 하락을 뜻하는 것은 아니며 조정 단계에 있을 뿐입니다.순매수 3조 이상으로 차익 실현 하며 차주 옵션 만기일에 맞춰 하락할 가능성..

2024년 31주차 주요 국가 경제 이벤트 일정

안녕하세요 컨설턴트입니다.2024년 31주 차 주요 국가 경제 이벤트 일정입니다.1. 미국 노동부 JOLTs(구인, 이직 보고서)(6월)전월 대비 약간 감소한 수치가 예상되고 있습니다.2. ADP 비농업부문 고용 변화(7월)전월 대비 10% 정도 개선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3. 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USD)지난주와 유사하게 서서히 평균이 오르고 있습니다. 금리 인하가 곧 예상됩니다.4. 금리결정(USD)현재 동결이 유력합니다. 이번 성명서와 기자회견에서 9월 인하 가능성을 점칠 수 있게 될 겁니다.5. 실업률(USD)(7월)이전과 동일한 수준의 4.1%로 예상됩니다.6. 외국인 국내 선물 동향지속적인 선 현물의 매도로 지수 상승을 막고 있습니다. 금리 인하가 확인되어도 미 대선이라는 중요 변수로 인..

2024년 30주차 주요 국가 경제 이벤트 일정

안녕하세요 컨설턴트입니다.2024년 30주 차 주요 국가 경제 이벤트 일정입니다.1. GDP(KOR-YoY, QoQ)(2분기)GDP가 점점 하락하고 있습니다. 메모리 및 자동차 수출이 늘어도 GDP가 감소하고 있다는 점은 많은 걸 시사합니다.2.GDP(USD-QoQ)(2분기)이전 분기 대비 0.5% 오른 1.9%가 예상되고 있습니다. 3. 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USD)서서히 평균이 오르고 있습니다. 금리 인하가 곧 예상됩니다.4. 국내 선물 동향외인들은 미국 옵션 만기일에 맞춰 선물 매도를 강하게 했습니다. 추세의 변화를 지켜봐야 합니다.5. 60일간 외인 현물 매매 동향(코스피, 코스닥)코스피는 전주 대비 삼성전자 매수, 하이닉스 매도로 두 종목 주가의 흐름을 확실히 보여준 한 주였습니다. 그 외 이노텍..

2024년 29주차 주요 국가 경제 이벤트 일정

안녕하세요 컨설턴트입니다.2024년 29주 차 주요 국가 경제 이벤트 일정입니다.1. 연방준비제도(FED)의장 파월 연설지난주에 언급했듯이 유사한 기조(인플레 안정화)로 발언할 가능성이 높습니다.2. 금리결정(EUP)(7월)유럽 금리가 발표됩니다. 인하 동결 모두 가능성이 있으나 현재로는 동결이 유력합니다.3. 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USD)지난주 발표 때 다시 주춤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큰 변동은 없을 가능성이 높습니다.4. 국내 선물 동향외인들의 선물 매수세가 거침없습니다. 차익 실현을 예상했으나 추가 매수로 순 매수 누적 4조를 돌파하며 지수를 상승시키고 있습니다. 5. 60일간 외인 현물 매매 동향(코스피, 코스닥)최근 코스피와 코스닥 트렌드를 보면 2차 전지주와 엔터주에 대한 매도세가 약해지고 심지..

2024년 28주차 주요 국가 경제 이벤트 일정

안녕하세요 컨설턴트입니다.2024년 28주 차 주요 국가 경제 이벤트 일정입니다.1. 연방준비제도(FED)의장 파월 증언상원 은행 위원회에 이틀 연속 출석하여 증언을 합니다. 최근 기조와 유사한 발언을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2. 금리결정(KOR)(7월)한국 금리가 내일 발표됩니다. 당연히 동결이 예상되며 미국 금리와 비슷한 수준을 맞추기 전까지는 동결해야 합니다.3. 소비자물가지수(USD-YoY, MoM)(6월)미국도 이제 3%에 근접해가고 있습니다. 목표치인 2%까지는 멀었으나 앞자리가 2%대로 갈 가능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습니다.4. 근원 소비자물가지수(USD-YoY, MoM)(6월)근원 CPI 또한 CPI와 마찬가지로 점진적으로 안정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5. 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USD)서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