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277

2024년 50주차 주요 경제 이벤트 일정

안녕하세요 컨설턴트입니다.2024년 50주 차 주요 경제 이벤트 일정입니다. 45년 만의 비상계엄으로 대한민국은 큰 혼란에 빠졌습니다. 누차 실정을 언급했지만 이 정도 미친 짓을 할지는 예상을 못했습니다. 빠르게 탄핵 후에 끌어내려야 대한민국 증시에도 봄이 옵니다. 지금 탄핵에 표결조차 참석하지 않는 국민의힘 국회의원들은 생각을 고쳐먹고 빨리 참석하는 길만이 유일한 살 길입니다.이번 주는 미국의 금리 인하 여부에 따라 현 상승 추세를 유지하느냐 못하느냐가 판가름될 수 있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이번 회의까지는 매우 높은 확률로 추가 인하의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합니다.1. 금리결정(USD)금리 인하 여부를 지켜봐야 합니다. 이번까지는 인하를 할 가능성이 높다고 봅니다.2. 금리 예상향후 4년간의 금리 점도..

2024년 49주차 주요 경제 이벤트 일정

안녕하세요 컨설턴트입니다.2024년 49주 차 주요 경제 이벤트 일정입니다.  1. 연방준비제도(FED) 의장 파월 연설금리 인하의 속도 조절에 대해 언급한 기조가 이어지는지 지켜봐야 합니다.2. 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큰 틀의 변화 없이 210K대를 유지하며 가고 있습니다.3. 비농업고용지수(USD)(11월)전월 큰 폭의 감소 후 반등하는 183K를 예상하고 있습니다.4. 외국인 국내 선물 동향외국인들이 선물 포지션을 정리하면서 지수를 하락시켰고 중립의 위치에 와 있습니다. 이번 선물옵션 만기일인 12월 12일까지는 코스피 지수가 2400 위에 있을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5. 60일간 외인 현물 매매 동향(코스피, 코스닥)네이버에 매수세가 유입되며 주가가 반등하였습니다. 하이닉스는 외국인들이 저가 매수..

2024년 48주차 주요 경제 이벤트 일정

안녕하세요 컨설턴트입니다.2024년 48주 차 주요 경제 이벤트 일정입니다. 만기일 이후 삼성전자의 자사주 매입 이벤트와 함께 지수가 반등하였습니다. 왜 항상 저런 이벤트는 옵션 혹은 선물 만기일 이후인지 늘 궁금합니다.삼성전자가 자사주 매입을 하며 지수 반등을 했습니다만 오너 일가의 포지션 방어를 위함으로 추정되는 뉴스 기사들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결국 실적, 특히나 DS 부문의 반등이 있지 않는 한 큰 폭의 개선은 기대하기 어렵습니다.1. 연방공개시장위원회 회의록최근 파월 의장의 매파적 발언과 어느 정도 온도차가 있는지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2. 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큰 틀의 변화 없이 210K대를 유지하며 가고 있습니다.3. 외국인 국내 선물 동향만기일 이후 선물을 일부 반등시키며 현물도 같이 상승..

2024년 47주차 주요 경제 이벤트 일정

안녕하세요 컨설턴트입니다.2024년 47주 차 주요 경제 이벤트 일정입니다.  지난주 한국 및 미국의 옵션 만기일이었습니다. 양국 모두 만기일 때 하락으로 포지션을 마무리했으며 다음 주 포지션을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1. 외국인 국내 선물 동향지난주 예상한 대로 목요일 옵션 만기일 전까지 코스피 지수를 빼다가 목요일에 약 보합으로 마무리하였습니다.5. 60일간 외인 현물 매매 동향(코스피, 코스닥)지수를 하락시키기 위해 삼성전자 하이닉스 모두 동반매도를 하여 큰 폭의 지수 하락을 만든 한 주입니다. 삼성전자의 매도세는 여전히 멈출 줄 모르고 있습니다. 이번 주 금요일 삼성전자가 7% 상승을 만들었으나 매수액이 적어 대세에 영향을 주지는 않습니다. 기조의 변경인지 1회 성인지 지켜봐야 합니다.

2024년 46주차 주요 경제 이벤트 일정

안녕하세요 컨설턴트입니다.2024년 46주 차 주요 경제 이벤트 일정입니다.  미 대선 결과 트럼프가 당선이 되었고 그에 따라 종목별 희비가 엇갈렸습니다. 종목과 무관하게 코스피는 연일 하락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트럼프 당선으로 자동차 종목들이 타격을 입었으나 현대 기아는 그 피해폭이 적거나 혹은 없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2차 전지 또한 미국 공장의 태반이 공화당 강세 주로 트럼프가 원하는 방향으로만 가기는 어렵습니다. 그에 반해 트럼프에 올인한 테슬라가 큰 폭의 상승을 보여주고 있는데 만약 머스크가 경제 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자리, 혹은 영향을 미치는 게 보인다면 랠리가 더 지속될 가능성이 있습니다.1. 소비자물가지수, 근원소비자물가지수(USD-YoY, MoM)(10월)오래간만에 CPI 지표를 확인했습..

2024년 45주차 주요 경제 이벤트 일정

안녕하세요 컨설턴트입니다.2024년 45주 차 주요 경제 이벤트 일정입니다.  미 대선이라는 빅 이벤트를 앞두고 관망을 하는 한 주가 되겠습니다. 현재 박빙 중 해리스가 약 우세처럼 보이나 힐러리 때처럼 총득표율을 높으나 선거인단에서 질 가능성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1. 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이전 대비 안정 단계에 들어간 220K 근처에 유지하고 있습니다.2. 금리결정(USD)25bp를 내린 4.75%가 예상됩니다.3. 연방공개시장위원회 성명서 & FOMC 기자회견0.25% 하락 예정인 금리에 대한 설명과 향후 전망을 가이드합니다. 현재 추세상으로는 연내 추가 1회 인하, 내년 100bp 인하가 예상됩니다.4. 외국인 국내 선물 동향드디어 삼성전자의 매도세가 멈추는 것처럼 "보이는" 한주였습니다. 선물은 지..

2024년 44주차 주요 경제 이벤트 일정

안녕하세요 컨설턴트입니다.2024년 44주 차 주요 경제 이벤트 일정입니다.  이번 미국 옵션 만기일까지 다시 지수를 20,500 근처로 파킹함으로써 아직 떨어뜨릴 생각이 없음을 보여준 한 주입니다.1. 미국 노동부 JOLTs(구인, 이직 보고서)(9월), ADP 비농업부문 고용 변화(10월), 비농업고용지수(10월)미국의 고용 지표에 약간의 경색이 생기고 있습니다. 금리 인하를 멈출 수 없는 근거가 됩니다.2. GDP(USD-QoQ)(3분기)여전히 강력한 숫자인 3.0%가 예상됩니다.3. 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다시 정상 범위 내(230K 근처)인 231K로 들어옵니다.4. 실업률(USD)(10월)고용 지표와 다르게 실업률은 변동이 없습니다. 실업률과 고용 지표 간의 간극에 대해서는 " 고용률은 취업상태를 ..

2024년 43주차 주요 경제 이벤트 일정

안녕하세요 컨설턴트입니다.2024년 43주 차 주요 경제 이벤트 일정입니다.  이번 미국 옵션 만기일까지 다시 지수를 20,500 근처로 파킹함으로써 아직 떨어뜨릴 생각이 없음을 보여준 한 주입니다.1. GDP(KOR-YoY, QoQ)(3분기)한국의 GDP는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습니다. 반도체와 자동차 수출이 어느 정도 견인하고 있으나 처첨한 내수 상황을 알 수 있게 하는 지표입니다. 실제 최근 경기는 매우 나쁩니다.2. 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USD)이전 대비 소폭 감소한 241K로 나왔습니다.3. 외국인 국내 선물 동향외국인의 현재 현물 스탠스는 삼성전자의 가격을 적당히 유지하며 매도하고 싶은 마음이 선물 흐름에서도 느껴집니다. 지수를 상승시키거나 크게 하락시킬 생각은 없습니다.4. 60일간 외인 현물..

2024년 42주차 주요 경제 이벤트 일정

안녕하세요 컨설턴트입니다.2024년 42주 차 주요 경제 이벤트 일정입니다.  한국은행이 우려했던 금리 인하를 단행했습니다. 어떤 이유를 대든 용납이 안 되는 상황입니다. 지속적으로 주장하는 것처럼 채권 시장이 살아나려면 금리를 미국보다 높여야 합니다. 지난주 미국 CPI는 예상치를 약간 상향했으나 문제 될 수준은 아닙니다.1. 금리결정(EUR)(10월)유럽도 추가 금리 인하가 예상되고 있습니다.2. 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USD)근래 흐름인 230K 언저리가 아닌 예상치를 초과한 258K로 금리 추가 인하의 불씨가 될 수 있습니다.3. 외국인 국내 선물 동향외국인의 현재 현물 스탠스는 삼성전자의 가격을 적당히 유지하며 매도하고 싶은 마음이 선물 흐름에서도 느껴집니다. 지수를 상승시키거나 크게 하락시킬 생각..

2024년 41주차 주요 경제 이벤트 일정

안녕하세요 컨설턴트입니다.2024년 41주 차 주요 경제 이벤트 일정입니다. 지난주 개인 사정으로 한 주 쉬었습니다.이스라엘발 중동 위기와 좋은 지표 발표로 추가 빅컷을 안 할 가능성이 높아지며 지수 변동성이 심했던 한 주였습니다. 다음 주에는 목요일 연준의 회의록 공개와 이제는 상대적으로 덜 중요해진 CPI 발표가 있습니다.1. 연방공개시장위원회 회의록연준의 주체별 스탠스가 나올 것이며 추가 빅컷 가능성을 엿볼 수 있는 기회가 되겠습니다.2. 소비자물가지수(YoY, MoM)(9월), 근원소비자물가지수(YoY, MoM)(9월)미국 CPI는 안정권으로 접어들어 상대적으로 관심이 많이 낮아진 지표입니다. 연준의 목표치에 부합하는 지표를 달성했고 특이점은 없을 예정입니다.3. 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USD)2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