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컨설턴트입니다.
2024년 44주 차 주요 경제 이벤트 일정입니다.
이번 미국 옵션 만기일까지 다시 지수를 20,500 근처로 파킹함으로써 아직 떨어뜨릴 생각이 없음을 보여준 한 주입니다.
1. 미국 노동부 JOLTs(구인, 이직 보고서)(9월), ADP 비농업부문 고용 변화(10월), 비농업고용지수(10월)
미국의 고용 지표에 약간의 경색이 생기고 있습니다. 금리 인하를 멈출 수 없는 근거가 됩니다.
2. GDP(USD-QoQ)(3분기)
여전히 강력한 숫자인 3.0%가 예상됩니다.
3. 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
다시 정상 범위 내(230K 근처)인 231K로 들어옵니다.
4. 실업률(USD)(10월)
고용 지표와 다르게 실업률은 변동이 없습니다. 실업률과 고용 지표 간의 간극에 대해서는 " 고용률은 취업상태를 나타내는 지표인 반면, 실업률은 취업을 하고 싶어도 취업을 하지 못하는 인구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하지만 구직을 포기한 실망실업자의 경우는 비경제활동인구로 분류되기 때문에 공식 실업률이 실업상태를 적절하게 반영하지 못하는 현실적인 한계가 있다."라고 대한민국 정부가 정의하였습니다.(국민의 삶 지표)
5. 외국인 국내 선물 동향
외국인의 현재 현물 스탠스는 삼성전자의 가격을 적당히 유지하며 매도하고 싶은 마음이 선물 흐름에서도 느껴집니다. 지수를 상승시키거나 크게 하락시킬 생각은 없습니다.
4. 60일간 외인 현물 매매 동향(코스피, 코스닥)
하이닉스를 제외한 거의 모든 종목의 매도세가 전 주 대비 강해졌습니다. 위에도 언급했지만 선물 흐름을 동일합니다. 국내 정세의 큰 변화 없이는 이 추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정치와 경제를 분리하여 볼 수 없는 이유기도 합니다.
반응형
'월_주간 시장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46주차 주요 경제 이벤트 일정 (2) | 2024.11.11 |
---|---|
2024년 45주차 주요 경제 이벤트 일정 (6) | 2024.11.03 |
2024년 43주차 주요 경제 이벤트 일정 (8) | 2024.10.19 |
2024년 42주차 주요 경제 이벤트 일정 (2) | 2024.10.11 |
2024년 41주차 주요 경제 이벤트 일정 (6) | 2024.1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