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264

2025년 5주차 주요 경제 이벤트 일정

안녕하세요 컨설턴트입니다.2025년 5주 차 주요 경제 이벤트 일정입니다.  새해에 모든 분들의 건강을 기원합니다.헌재에서는 파면이 확실시되고 있습니다. 빠른 결정 후 조기 대선하여 불확실성이 확실하게 제거되고 난 후에 한국 지수는 반등할 수 있습니다. 한국 설 연휴 기간 미국과 유럽의 금리 결정이라는 빅 이벤트가 있습니다.지난주 일본이 금리를 예상대로 올렸으나 시장에 큰 반응은 없었습니다. 제로 금리 후 엔 캐리 트레이드 세력들이 차근차근 준비한 덕분입니다. 트럼프 취임 후 예상(?) 보다 덜 강경한 스탠스로 지수는 상승 쪽으로 무게추를 옮기는 것으로 보입니다.1. 금리결정(USD)금리 인하 속도 조절(동결)에 시장은 배팅하고 있습니다만 세상에 절대란 없습니다. 연내 4회의 인하는 확실시되고 있으며 그..

2025년 4주차 주요 경제 이벤트 일정

안녕하세요 컨설턴트입니다.2025년 4주 차 주요 경제 이벤트 일정입니다. 다행히 이번 주 윤석열이 체포 및 구속영장 청구가 마무리되며 점차 정국이 안정되어 가고 있습니다. 그 와중에 법원에 가서 난리 친 폭도들이 문제 이긴 하나 경찰 및 법원에서 본인들의 안위를 위협받은 사건이기 때문에 엄정히 조치할 것이라 믿습니다.드디어 다음 주 트럼프가 취임을 합니다. 큰 변수로 보일 수 있으나 이미 한번 경험해 본 사람이기 때문에 어느 정도 예상 범위 내에 있습니다. 본인 치적을 내세우기 위해 현재 진행 중인 우러 전쟁과 이스라엘 하마스 등에 적극 개입하여 조정할 가능성이 높습니다.미국 및 한국의 첫 번째 옵션 만기일이 끝났고 특별히 코멘트할 수준의 지수 변동은 없었다 판단합니다.1. GDP(KOR-YoY, Qo..

2025년 3주차 주요 경제 이벤트 일정

안녕하세요 컨설턴트입니다.2025년 3주 차 주요 경제 이벤트 일정입니다. 국내 정세 불안으로 큰 흐름은 이전과 유사합니다. 트럼프 취임일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한국도 빠른 시일 내에 대통령 파면 및 수사를 통해 국정 안정화를 해야 합니다.1. (근원) 소비자물가지수(USD-YoY, MoM)(12월)오래간만에 CPI 자료를 리뷰했으나 큰 변화는 없습니다. YoY CPI가 조금 높긴 하나 MoM이 낮기 때문에 충분히 상쇄가능 합니다.2. 금리결정(KOR)(1월)이번에는 절대 인하하면 안 됩니다. 한은은 정신 차려야 합니다. 미국과 같은 수준이 될 때까지 내리면 안 됩니다.3. 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USD)최근 200~220K 이내의 안정적인 흐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4. 외국인 국내 선물 동향최근 삼성전자 ..

2025년 2주차 주요 경제 이벤트 일정

안녕하세요 컨설턴트입니다.2025년 2주 차 주요 경제 이벤트 일정입니다. 국내 정세 불안으로 큰 흐름은 이전과 유사합니다. 트럼프 취임일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한국도 빠른 시일 내에 대통령 파면 및 수사를 통해 국정 안정화를 해야 합니다.1. 연방공개시장위원회 회의록현재 기조인 완만한 하락 흐름을 확인할 수 있는 시간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2. 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USD)큰 흐름의 변화는 없습니다.3. 외국인 국내 선물 동향지난주에 이어 큰 흐름의 변화는 없습니다. 역대급 할인 가격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외인들은 관망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4. 60일간 외인 현물 매매 동향(코스피, 코스닥)지난주와 유사한 흐름 속에 2차 전지 관련주가 조금씩 매수 리스트에 올라오는 중입니다.

2025년 1주차 주요 경제 이벤트 일정

안녕하세요 컨설턴트입니다.2025년 1주 차 주요 경제 이벤트 일정입니다. 우선 오늘 불의의 항공기 사고로 돌아가신 모든 희생자 분들의 명복을 빕니다. 새해를 맞이하는 주간으로 큰 이벤트는 없습니다. 새해에는 좀 더 긍정적인 소식이 많은 한 해가 되길 기원합니다. 1. 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USD)다시 일반적인 수치인 220K 언저리에서 유지 중입니다.2. GDP(KOR-YoY, QoQ)(4분기)잘 나올 수가 없는 수치로 예상치가 없으나 YoY도 1% 이하, QoQ는 마이너스가 날 가능성이 있습니다.3. 한국 외환보유고(12월)최근 환율 방어로 큰 폭의 하락이 예상됩니다. 그래서인지 주말 발표하는 꼼수를 부리고 있습니다.4. 외국인 국내 선물 동향지난주에 이어 큰 흐름의 변화는 없습니다. 국내 정세가 불안..

2024년 52주차 주요 경제 이벤트 일정

안녕하세요 컨설턴트입니다.2024년 52주 차 주요 경제 이벤트 일정입니다. 벌써 한 해가 마무리됩니다. 여전히 한국의 앞날은 캄캄해 보이나 모두가 노력해서 조기종식이 되는 내년이 되길 기원합니다.지난주 언급했듯이 코스피 약반등과 미국 금리는 완만히 하락함을 연준에서 보여 줬습니다. 아직 금리를 급하게 내릴 필요가 없는 건 맞습니다만 트럼프가 빨리 내리라 성화를 부릴 거라 향 후 금리 움직임은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1. 외국인 국내 선물 동향초반 흐름은 외국인들의 약세로 진행 중입니다. 미국 만기일도 마무리 됐으므로 돌아오는 주간부터 방향을 지켜봐야 합니다.2. 60일간 외인 현물 매매 동향(코스피, 코스닥)하이닉스 5천억, 삼성전자 2.4조를 순매수하면서 삼성전자와 하이닉스를 중심으로 외국인들의 매수..

2024년 51주차 주요 경제 이벤트 일정

안녕하세요 컨설턴트입니다.2024년 51주 차 주요 경제 이벤트 일정입니다. 우선 주간 일정을 잘못 봐서 이번주 일정을 지난주에 올려 혼란을 드려 죄송합니다. 51주 차 일정표를 보고 50주 차를 작성했네요. 앞으로는 주의하겠습니다.다행히 이번 주 토요일 탄핵에 성공하면서 다음 주부터 어느 정도 약반등이 예상됩니다. 미국 금리는 이전부터 언급했듯이 완만히 하락할 예정입니다.1. 금리결정(USD)금리 인하 여부를 지켜봐야 합니다. 이번까지는 인하를 할 가능성이 높다고 봅니다.2. 금리 예상향후 4년간의 금리 점도표를 가이드합니다. 현 추세상 이전대비 좀 더 완만한 인하 곡선을 그릴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3. GDP(USD-QoQ)(3분기)이전 대비 살짝 낮아진 2.8%가 예상됩니다. 그래도 여전히 탄..

2024년 50주차 주요 경제 이벤트 일정

안녕하세요 컨설턴트입니다.2024년 50주 차 주요 경제 이벤트 일정입니다. 45년 만의 비상계엄으로 대한민국은 큰 혼란에 빠졌습니다. 누차 실정을 언급했지만 이 정도 미친 짓을 할지는 예상을 못했습니다. 빠르게 탄핵 후에 끌어내려야 대한민국 증시에도 봄이 옵니다. 지금 탄핵에 표결조차 참석하지 않는 국민의힘 국회의원들은 생각을 고쳐먹고 빨리 참석하는 길만이 유일한 살 길입니다.이번 주는 미국의 금리 인하 여부에 따라 현 상승 추세를 유지하느냐 못하느냐가 판가름될 수 있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이번 회의까지는 매우 높은 확률로 추가 인하의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합니다.1. 금리결정(USD)금리 인하 여부를 지켜봐야 합니다. 이번까지는 인하를 할 가능성이 높다고 봅니다.2. 금리 예상향후 4년간의 금리 점도..

2024년 49주차 주요 경제 이벤트 일정

안녕하세요 컨설턴트입니다.2024년 49주 차 주요 경제 이벤트 일정입니다.  1. 연방준비제도(FED) 의장 파월 연설금리 인하의 속도 조절에 대해 언급한 기조가 이어지는지 지켜봐야 합니다.2. 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큰 틀의 변화 없이 210K대를 유지하며 가고 있습니다.3. 비농업고용지수(USD)(11월)전월 큰 폭의 감소 후 반등하는 183K를 예상하고 있습니다.4. 외국인 국내 선물 동향외국인들이 선물 포지션을 정리하면서 지수를 하락시켰고 중립의 위치에 와 있습니다. 이번 선물옵션 만기일인 12월 12일까지는 코스피 지수가 2400 위에 있을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5. 60일간 외인 현물 매매 동향(코스피, 코스닥)네이버에 매수세가 유입되며 주가가 반등하였습니다. 하이닉스는 외국인들이 저가 매수..

2024년 48주차 주요 경제 이벤트 일정

안녕하세요 컨설턴트입니다.2024년 48주 차 주요 경제 이벤트 일정입니다. 만기일 이후 삼성전자의 자사주 매입 이벤트와 함께 지수가 반등하였습니다. 왜 항상 저런 이벤트는 옵션 혹은 선물 만기일 이후인지 늘 궁금합니다.삼성전자가 자사주 매입을 하며 지수 반등을 했습니다만 오너 일가의 포지션 방어를 위함으로 추정되는 뉴스 기사들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결국 실적, 특히나 DS 부문의 반등이 있지 않는 한 큰 폭의 개선은 기대하기 어렵습니다.1. 연방공개시장위원회 회의록최근 파월 의장의 매파적 발언과 어느 정도 온도차가 있는지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2. 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큰 틀의 변화 없이 210K대를 유지하며 가고 있습니다.3. 외국인 국내 선물 동향만기일 이후 선물을 일부 반등시키며 현물도 같이 상승..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