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기업 개요
시가총액 7조 2,061억
보통주 : 133,445천 주
유동비율 : 55.89%
대주주 지분 : 35.97%
국민연금공단 : 8.14%
외국인 보유 비중 : 20.23%
2. 사업 분야 및 매출 현황
주 사업분야는 철강(94.4%), 기타(5.6%)이며 20년 매출 현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철강의 종류에 대해서는 아래 블로그 내용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http://product.posco.com/homepage/product/kor/jsp/process/s91p2000110h.jsp
종류 및 용도 - 열연 - 제품별 - POSCO PRODUCTS
초고강도강 초고강도강(Advanced High Strength Steel)은 금속학적으로 저온변태조직을 이용한 변태강화강으로, DP(Dual Phase) steel, TRIP(TRansformation Induced Plasticity) steel, XF(eXtra Formable) steel, TWIP(TWinning Induced
product.posco.com
3. 영업 이익
미중 무역 분쟁 등으로 지속 하락하던 중 코로나 직격탄을 맞은 철강 업계는 코로나 회복으로 판가가 상승하면서 반등하고 있습니다.

4. 매출채권, 재고자산, 가동률 및 생산능력
4-1 매출채권
- 7.4% 증가


4-2 재고자산
- 제품 10.8% 감소
- 원재료 9.6% 증가
- 합계 1.1% 증가


4-3 가동률 및 생산 능력
- 봉형강 1.3% 증가
- 열연 23.5% 감소
- 후판 0.7% 감소
- 냉연 7.9% 증가
- 강관 외 2.3% 감소


5. 1Q21 매출 및 영업 이익
이미 실적 발표가 되었으므로 발표 결과를 그대로 적겠습니다.
현대제철 1분기 실적
- 매출 4조 9,274억
- 영업이익 3,039억
6. 결론
가동률을 기준으로 분석해 보면 열연은 자동차 차체 및 냉연 원료로 사용되고 열연은 자동차 샤시용 및 건축용으로 주로 사용됩니다. 차량용 수요가 전반적으로 늘었으나 열연의 감소를 보면 건축용 수요의 일부가 감소했을 수도 있습니다.
2월 언론에서 떠들어 대던 가동률 100%는 포스코에 한정되어 있었고 현대제철은 오히려 가동률이 합계 기준 낮아졌음을 알 수 있습니다. 1월부터 엄청 기사를 쏟아 냈으니 이미 기관/외인이 선점한 물량을 올린 다음 개미 털이를 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현대제철은 현기차와 밀접한 관계가 있어 차량용 수요가 아무래도 크게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습니다. 차량 생산이 회복될 3분기부터는 실적 상승이 나올 수 있으나 동반 상승 중인 철광석 가격 상승으로 인해 원가 압박을 받아 영업이익률이 기대치만큼 나오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현재 현대제철의 멀티플은 5.34로 포스코(5.02) 보다 높은 멀티플에 인해 멀티플 5에 수렴하는 자리까지 조정받을 수 있습니다. 대신 포스코보다 강점이라면 아직 가동률 상승으로 인한 매출 증가 여지가 남아 있으므로 3분기에서 4분기에 차량 생산량이 늘어나는지를 면밀히 모니터링 필요합니다.
현대제철이든 포스코든 단기간에 증설이 어려운 산업군이며 최대 영업이익의 한계로 인해 주가 및 멀티플의 상승이 어렵다는 걸 알아야 합니다.
장점
- 철강 수요 회복으로 인한 매출 증가 기대
- 은행 이자 수준의 시가 배당률(0.93%)
단점
- 선반영 되어 있는 주가
현대제철 주가
21년 6월 2일 기준가 54,000원
21년 영업이익 1조 3,502억 달성 시 50,600원
22년 영업이익 1조 4,400억 달성 시 54,000원
* 상기 의견은 개인적인 분석에 따른 의견입니다.
'건설_내수_화장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양식품_003230> 재무제표 기반 주가 분석 (0) | 2021.06.07 |
---|---|
<코웨이_021240> 재무제표 기반 주가 분석 (0) | 2021.06.03 |
<태경케미컬_006890> 재무제표 기반 주가 분석 (0) | 2021.06.01 |
<호텔신라_008770> 재무제표 기반 주가 분석 (0) | 2021.05.25 |
<아가방컴퍼니_013990> 재무제표 기반 주가 분석 (1) | 2021.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