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_내수_화장품

<호텔신라_008770> 재무제표 기반 주가 분석

Consultant 2021. 5. 25. 14:34
반응형

1. 기업 개요

시가총액 3조 5,794억

보통주 : 39,248천 주

유동비율 : 56.07%

대주주 지분 : 17.34%

국민연금공단 : 8.63%

외국인 보유 비중 : 19.97%

2. 사업 분야 및 매출 현황

주 사업분야는 TR [면세품](86.2%), 호텔&레저(13.8%)이며 20년 매출 현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매출 현황 1Q21
매출 형태별 실적 1Q21

3. 영업 이익

면세점 사업의 성장으로 큰 폭의 성장을 지속하다가 코로나로 인한 직격타를 맞았습니다. 1Q21 매출이 감소했음에도 영업이익이 발생했다는 것은 비용을 줄인 것도 잇겠지만 20220년에 빅베스를 많이 해 놨음을 유추해 볼 수 있습니다.

연간 및 분기 영업이익 흐름

4. 매출채권 및 미수금, 재고자산

4-1 매출채권 및 미수금

- 5.3% 증가

매출채권 1Q21
매출채권 4Q20

4-2 재고자산

- 합계 0.9% 증가

상품 재고자산으로 큰 금액으로 잡혀 있는 걸 보면 백화점 처럼 수수료 장사가 아닌 직접 매입을 통한 매출의 비중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재고자산 1Q21
재고자산 4Q20

5. 1Q21 매출 및 영업 이익

이미 실적 발표가 되었으므로 발표 결과를 그대로 적겠습니다.

호텔신라 1분기 실적

- 매출 7,272억

- 영업이익 266억

6. 결론

여행 관련 대장주로 코로나로 인해 큰 타격을 받았습니다. 주 수입원인 면세 매출의 감소가 큰 요인으로 백신 접종을 통해 여행 수요가 살아나야 회복이 될 것입니다.

전체 매출에서 호텔&레저의 비중은 10% 이하로 국내 백신 접종이 높아질 4분기부터는 실적의 개선으로 흑자 전환이 예상됩니다. 하지만 면세점의 주요 고객인 중국 고객의 입국이 허용되려면 백신 생산량과 접종 속도 등을 감안해 보면 빨라도 내년 하반기나 늦어지면 23년 초나 돼야 본격적인 매출이 올라올 가능성이 높습니다.

현재 주가는 증권사 추정 영업이익인 1,304억 기준 멀티플 27.44로 평균 멀티플 수준은 14~15를 2배 가까이 초과한 상태입니다. 22년 어닝서프라이즈 또는 23년 상반기 실적이 선반영 되어 있는 주가이나 여행주 또는 호텔주 등의 상승 추세를 감안해 보면 매도할 자리는 아니라고 봅니다. 대신 추매 하기에는 또 애매한 자리기도 합니다.

 

 

장점

- 코로나 회복으로 인한 매출 회복 기대

 

단점

- 선반영 되어 있는 주가

호텔신라 주가 
21년 5월 11일 기준가 91,200원
단기 주가 평가 어려움
23년 영업이익 3,223억 달성 시 115,000원

* 상기 의견은 개인적인 분석에 따른 의견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