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_디스플레이_5G

<솔브레인_357780> 재무제표 기반 주가 분석

Consultant 2021. 4. 21. 16:55
반응형

1. 기업 개요

시가총액 2조 4,930억

보통주 : 7,778천 주

유동비율 : 53.66%

대주주 지분 : 46.34%

외국인 보유 비중 : 23.19%

2. 사업 분야 및 매출 현황

주 사업분야는 반도체 재료(68%), 디스플레이 재료(16%), 2차 전지 재료(16%)이며 20년 매출 현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21년 7월1일을 기점으로 솔브레인홀딩스에서 인적 분할된 회사로 하반기 실적만 표시됩니다.

매출현황 2020년

3. 영업 이익

19년도는 분할 전 기준 9,000억 정도의 매출을 달성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1Q20과 2Q20은 하반기 실적을 그대로 넣어 추정하겠습니다.

연간 및 분기 영업이익 흐름

4. 매출채권, 재고자산, 가동률

4-1 매출채권

- 6.4% 감소

매출채권 4Q20
매출채권 3Q20

 

4-2 재고자산

- 상품 8.8% 감소

- 제품 1.5% 증가

- 원재료 3.2% 감소

- 합계 : 1.4% 감소

재고자산 4Q20
재고자산 3Q20

4-3 가동률

- 반도체 재료 1% 감소

- 디스플레이 재료(케미컬) 3% 감소

- 디스플레이 재료(기타) 4% 증가

- 2차 전지 재료 26% 감소

  가동률이 많이 떨어진 것처럼 보이지만 4분기 말 기존 CAPA 대비 94%의 증설을 해서 줄어든 것처럼 보이는 겁니다.

  실제 3분기 기준 Full CAPA인 5400톤을 초과하여 생산하였습니다. 증설을 안 했다면 나오지 못했을 매출입니다.

가동률 4Q20
가동률 3Q20

5. 4Q20 예상 매출 및 영업 이익

별다른 회계 기법을 적용하지 않는다면 1분기는 2차 전지 재료 부문의 증가에 힘입어 4.3% 증가된 매출이 예상됩니다.

솔브레인 1분기 예상 실적

- 예상 매출 2,500억

- 예상 영업이익 550억

6. 결론

2차 전지 전해액 공장의 선 증설로 2차 전지 효과를 충분히 받을 수 있게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거기에다 괜찮은 가동률의 반도체 재료 부문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연내 90%를 달성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여기에다 부진한 디스플레이 쪽도 최근 LCD 및 OLED 라인 등의 증설에 맞춰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올해 매출은 전년도 대비 최소 10% 이상의 개선이 이뤄질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멀티플은 12로 반도체 재료주의 평균 멀티플을 받고 있습니다. 올해 예상 영업이익을 감안해보면 아직 상승 여력이 더 있다고 보입니다. 다만 전 부문의 가동률이 개선되어 매출이 크게 나와줘야 큰 상승이 가능합니다.

 

 

장점

- 반도체/디스플레이/2차 전지 포트폴리오 구성

- 가동률 개선으로 인한 매출 증가 기대

- 배당금 지급(0.6% 시가 배당)

 

단점

- 전 부문의 가동률 개선 필요

 

솔브레인 주가 
21년 4월 21일 기준가 320,500원

21년 영업이익 2275억 달성 시 351,000원
가동률 개선 사항 모니터링 필요

* 상기 의견은 개인적인 분석에 따른 의견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