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기업 개요
시가총액 5,349억
보통주 : 26,288천주
유동비율 : 52.12%
대주주 지분 : 40.54%
국민연금공단 : 7.34%
외국인 보유 비중 : 1.23%
2. 사업 분야
주 사업분야는 반도체 쿼츠웨어(46%), 반도체 쿼츠웨어 원재료(37.2%) 세정(12%)이며 3Q20 매출현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반도체 공정에 사용하는 소모품을 제조하는 회사입니다.
매출현황 3Q20
출처 : NICE평가정보(주)
3. 영업 이익
20년에 모멘티브의 쿼츠 부문을 인수하면서 매출이 2배로 늘었습니다. 상세를 보면 본업에서의 영업이익이 증가하였으나 모멘티브의 쿼츠에서 지속 적자 중(3분기 누적 -231억)에 있습니다.
연간 및 분기 영업이익 흐름
4. 매출 채권, 재고자산, 가동률
4-1 매출채권
- 매출채권 11.7% 감소
매출채권 3Q20 VS 2Q20
4-2 재고자산
- 제품 11.6% 증가
- 재공품 14.7% 감소
- 원재료 3.4% 증가
- Total 1.1% 감소
재고자산 3Q20 VS 2Q20
4-3 가동률
- 가동률 동등
가동률 3Q20 VS 2Q20
5. 4Q20 예상 매출 및 영업 이익
별다른 회계 기법을 적용하지 않는다면 4분기는 전 분기 대비 10% 감소한 수준의 매출이 예상됩니다. 대신 영업이익은 MOMQ의 손실폭이 감소하고 있으므로 조정이 필요합니다.
1Q20 -86억
2Q20 -79억
3Q20 -66억
4Q20 -50억(예상치)
원익QnC 4분기 실적
- 예상 매출 1,182억
- 예상 영업이익 66억
6. 결론
20년에 모멘티브의 쿼츠 소재 부문을 인수 합병하면서 덩치가 2배로 커진 상태이나 인수기업의 영업 손실로 매출 대비 영업이익에서는 재미를 보지 못하고 있는 기업입니다. 대신 세정 사업 부문의 성장으로 본업에서 경쟁력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추가로 MOMQ의 적자폭이 줄고 있기 때문에 제대로 소화만 해 낸다면 수직 계열화로 인한 열매를 가져갈 수 있는 기업입니다. 코끼리를 삼킨 보아 뱀이 소화를 잘 시키고 나온다면? 크게 성장하겠지요.
업종 내 멀티플을 비교해 보면 현재 12 정도를 받고 있으므로 높은 편은 아닙니다.
이 회사의 순이익은 변수가 하나 있는데 TRS(Total Return Swap)이라는 파생 상품에 기인합니다. 모회사의 주식을 담보로 사실상 빚을 내는 형태의 파생상품인데 원익 QnC는 모멘티브 쿼츠 분야 인수건으로 부채 비율이 올라간 상태이기 때문에 추가 부채의 발생은 부채 비율의 증가로 악영향을 받게 됩니다. 이 케이스는 파생상품으로 돈을 만들고 이자를 내는 형식이기 때문에 자산으로 잡히는 부채 비율이 높은 기업들에서 가끔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파생상품이기 때문에 분기별 평가 손익을 잡고 1분기 당기 순손실이 발생한 이유 중에 하나기도 합니다. 원익홀딩스의 3개월 평균 주가를 기준으로 5,000원 이하로 내려가면 손실, 위로 올라가면 이익이 잡히는 상품으로 실제 현금 흐름과는 무관하나 순이익에 영향을 주는 계정입니다.
원익QnC TRS 파생상품
장점
- 반도체 소모품 제조 회사
- 원재료 회사 인수로 인한 수직 계열화 이익 기대
- 본업의 꾸준한 성장세
- 높지 않은 멀티플
단점
- 인수 기업으로 인한 소화 불량 상태
- 모멘티브 인수로 인한 부채 비율 증가
원익QnC 주가
21년 2월 22일 기준가 20,350원
20년 실적 지속 시 20,000원 보합
21년 영업이익 600억 달성 시 27,300~29,600원
* 상기 의견은 개인적인 분석에 따른 의견입니다.
'반도체_디스플레이_5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엔에프테크놀로지_102710> 재무제표 기반 주가 분석 (0) | 2021.04.20 |
---|---|
<우리조명_037400> 재무제표 기반 주가 분석 (0) | 2021.04.14 |
<와이아이케이_232140> 재무제표 기반 주가 분석 (0) | 2021.04.13 |
<에스앤에스텍_101490> 재무제표 기반 주가 분석 (0) | 2021.04.13 |
<월덱스_101160> 재무제표 기반 주가 분석 (0) | 2021.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