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_친환경_조선

<한화솔루션_009830> 재무제표 기반 주가 분석

Consultant 2021. 4. 13. 14:59
반응형

1. 기업 개요

시가총액 7조 0,260억

보통주 : 159,846천주

유동비율 : 54.93%

대주주 지분 : 36.20%

국민연금공단 : 8.87%

외국인 보유 비중 : 17.63%

2. 사업 분야

주 사업분야는 태양광(50.50%), 케미컬 원료 및 가공(35.45%), 기타(11.99%)이며 3Q20 매출현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매출현황 3Q20

3. 영업 이익

18년부터 주요 사업부문인 케미컬 원료 부문의 영업이익이 곤두박질치고(판가 하락) 태양광 부문의 손실이 커져 지속적인 영업이익 하락을 겪다가 20년 태양광 부문의 반등으로 18년부터 이어진 부진을 털어냈습니다.

연간 및 분기 영업이익 흐름

4. 매출 채권, 재고자산, 가동률

4-1 매출채권

- 매출채권 11.8% 증가

 

매출채권 3Q20 VS 2Q20

4-2 재고자산

- 상품 11.7% 감소(갤러리아 중심)

- Total 3.2% 감소

 

재고자산 3Q20 VS 2Q20

4-3 가동률(케미컬 부문)

- 변동 사항 없음

 

가동률 3Q20 VS 2Q20

5. 4Q20 예상 매출 및 영업 이익

4분기는 이미 실적이 발표되었으므로 그대로 적겠습니다.

한화솔루션 4분기 실적

- 매출 25,618억

- 영업이익 654억

6. 결론

본업인 케미컬 원료 부문은 지속적인 판가의 하락으로 극심한 영업이익의 감소를 겪었습니다.

17년 6,311억

18년 3,672억

19년 1,749억

다행히 화학 부문은 이전 하락세를 경험한 18~20년의 판가 하락 기조에서 반등을 하고 있으므로 판가 상승의 이익을 어느 정도 가져갈 것으로 예상합니다.

한화를 이어받을 김동관 사장은 국내 CEO 군에서 가장 뛰어난(깨끗한) 편에 속하는 경영자라 생각합니다만 케미컬 소재 부문의 20년도 흑자 전환은 김동관 사장의 경영권 승계 전 포석으로 실적 쌓기 정도로 이해하는 게 좋습니다.

태양광 부문은 추가 투자를 위해 유상증자를 실행, 1.4조의 추가 자금을 수급하여 태양광 및 수소 부문에 추가 투자를 하기로 결정했으며 미국의 영향으로 올해 매출 증가가 기대가 되고 있습니다. 향후 3년으로 보면 좋은 투자 결정 시점이긴 합니다만 현재 높은 수준의 차입금과 부채비율은 주의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4분기 실적 하락은 20년 9월 김동관 사장의 한화솔루션 사장 취임으로 인해 빅베스를 진행하여 21년도에 좋은 실적을 내주기 위한 발판 정도로 이해하면 됩니다.

https://terms.naver.com/entry.nhn?cid=43665&docId=4357115&categoryId=43665

 

빅베스

새로 부임하는 기업의 CEO가 전임 CEO의 재임기간 동안에 누적된 손실을 회계장부상에서 최대한 반영하므로써 경영상의 과오를 전임 CEO에게 넘기는 행위. 새로 부임하는 기업의 CEO가 전임 CEO의 재임기간 동안에 누적된 손실을 회계장부상에서 최대한 반영하므로써 경영상의 과오를 전임 CEO에게 넘기는 행위. 새로 부임하는 CEO는 회계처리 과정에서 과거에 발생한 손실을 극대화해 잠재적인 부실까지 미리 반영한다. 그러나 이전 경영진의 성과를 보고 투자한 주주들은 이러한 회계처리로 인해 주가 하락에 따른 손실을 볼 수 있다.

terms.naver.com

장점

- 태양광 업황의 호황 기대

- 석유 화학 부문의 이익률 개선 기대

- 4분기 빅베스를 통한 21년 실적 상승 기대

단점

- 석유 화학 부문의 이익률 개선이 더딜 시 상승 폭 제한

- 높은 차입금 및 부채 비율 관리 필요

한화솔루션 주가

21년 3월 8일 기준가 43,950원

영업이익 8,000억 달성 시 60,000원

* 상기 의견은 개인적인 분석에 따른 의견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