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컨설턴트입니다.
2025년 13주 차 주요 경제 이벤트 일정입니다.
이번 주에는 특별한 경제 이벤트가 없습니다. 지난주 미국의 선물·옵션 만기일이 지나면서 새로운 주가 시작되었습니다. 여러 문제가 해결되고, 시장이 긍정적인 방향으로 나아가길 기대합니다.
연준은 올해 두 차례 금리 인하를 예고하며 QT(양적 긴축) 축소를 발표했습니다. 이에 따라 금리 인하 속도는 완화되겠지만, 실질 금리는 하락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4월 초가 되어야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실제 의도인지, 혹은 협상 전략인지를 확인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에 따라 시장의 불안정성이 해소될 것으로 보입니다.
반면, 국내 정세는 여전히 불투명합니다. 법과 원칙이 무시되고, 일부 세력이 사익을 우선하며 국가 운영을 혼란스럽게 만들고 있습니다. 빠른 선거를 통해 정상을 되찾아야 할 시점입니다.
1. GDP(USD-QoQ)(4분기)
GDP 성장률은 이전 대비 하락한 2.3%로 예상되지만, 여전히 미국 경제는 강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트럼프 취임 이후 어느 정도 예상된 수준이므로 크게 문제가 되지는 않습니다.
2. 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USD)
220K대에서 유지 중입니다.
3. 외국인 국내 선물 동향
이번 분기의 선물 동향은 제가 이 카테고리를 작성한 이후 가장 긍정적인 출발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일시적인 현상일 수도 있지만, 현물 매수세가 강력한 만큼 지속될 가능성도 높아 보입니다. 앞으로의 흐름을 기대해 볼 만합니다.
5. 60일간 외인 현물 매매 동향(코스피, 코스닥)
관망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됐던 외국인 투자자들이 예상과 달리 삼성전자를 2.4조 원 규모로 순매수하며 지수를 끌어올렸습니다. 이는 현물 매수세뿐만 아니라 앞서 언급한 선물 순매수가 동반된 결과로, 매우 강력한 긍정적 신호로 해석됩니다.
또한, 대부분의 종목에서 강한 매수세가 이어지며 코스피 지수 상승을 견인했습니다. 반면, 코스닥 시장은 바이오 종목들의 큰 폭의 하락으로 인해 약세를 보이며 지수가 하락한 한 주가 되었습니다.
'월_주간 시장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14주차 주요 경제 이벤트 일정 (0) | 2025.03.28 |
---|---|
2025년 12주차 주요 경제 이벤트 일정 (0) | 2025.03.15 |
2025년 11주차 주요 경제 이벤트 일정 (0) | 2025.03.10 |
2025년 10주차 주요 경제 이벤트 일정 (0) | 2025.03.03 |
2025년 9주차 주요 경제 이벤트 일정 (0) | 2025.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