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컨설턴트입니다.
2025년 9주 차 주요 경제 이벤트 일정입니다.
지난 금요일(2월 21일) 미국의 두 번째 옵션 만기일에 지수 하락이 있었으나 중요한 포인트는 아닙니다. 미국과 러시아 간 우크라이나 협상이 원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만 당사자인 우크라이나는 그동안 빌려 쓴 청구 비용을 정산하려면 사실상 미국의 반 식민지가 될 상황입니다. 게다가 주요 경제 인구인 20대에서 50대 남성이 전멸에 가까운 현 상황을 보면 지도자를 잘못 뽑았을 때 민주주의가 어떻게 무너지는지를 볼 수 있습니다.

1. 금리결정(KOR)(2월)
계속 이야기하고 있지만 한국은 금리 인하를 하면 안 됩니다. 미국보다 금리가 낮으면 안 됩니다. 1월 한 달간 채권 순 유출로 10조 이상 빠진 이유가 뭔지 모두가 알고 있는 상황에서 금리 인하를 통해 원화를 시중에 더 푸는 결정을 하는 것은 원화 약세로 이어지고 이는 일부 부동산 투기 세력들을 방어해 주기 위해 국민 모두가 짐을 나누는 상황이 됩니다.
2. GDP(USD-QoQ)(4분기)
미국 GDP는 아직도 건전합니다. 대한민국 GDP가 1%로 예상되는 현 상황에 미국의 2.3%의 GDP는 부러울 따름입니다.
3. 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USD)
최근 200~220K 이내의 안정적인 흐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4. 외국인 국내 선물 동향
러시아 우크라이나 종전 협상이 빠르게 진행되면서 선물을 매수로 돌린 외인들입니다. 하지만 여전히 언제든지 스탠스를 바꿀 수 있는 위치입니다. 지난 분석때와 비슷하게 선물 만기일인 3월까지는 현 수준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5. 60일간 외인 현물 매매 동향(코스피, 코스닥)
하이닉스와 삼성전자 모두 매수가 들어오면서 지수를 2654까지 끌어올린 상태입니다. LIG넥스원까지 매수 상위권에 랭크되면서 방산주가 강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월_주간 시장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11주차 주요 경제 이벤트 일정 (0) | 2025.03.10 |
---|---|
2025년 10주차 주요 경제 이벤트 일정 (0) | 2025.03.03 |
2025년 8주차 주요 경제 이벤트 일정 (0) | 2025.02.14 |
2025년 7주차 주요 경제 이벤트 일정 (0) | 2025.02.09 |
2025년 6주차 주요 경제 이벤트 일정 (4) | 2025.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