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기업 개요
시가총액 2조 7,998억
보통주 : 11,335천 주
유동비율 : 61.28%
대주주 지분 : 15.16%
국민연금공단 : 13.22%
TT International Management : 5.58%
한솔케미칼우리사주 외 : 4.76%
외국인 보유 비중 : 41.73%
2. 사업 분야 및 매출 현황
주 사업분야는 정밀화학제품(34.4%), 제지/환경제품(23.2%), 전자소재제품(35.7%)이며 1Q21 매출 현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3. 영업 이익
매출이 19년까지 정체하다가 20년에 크게 성장합니다. 영업이익률은 매출에 상관없이 꾸준히 우상향 한 좋은 기업입니다.

4. 매출채권, 재고자산, 가동률
4-1 매출채권
- 21.6% 증가


4-2 재고자산
- 합계 9.9% 증가


4-3 가동률
- 정밀화학(울산) 4.7% 증가
- 정밀화학(전주) 8% 증가
- 제지/환경 7.7% 감소
- 전자소재 24.8% 증가


5. 2Q21 매출 및 영업 이익
특별한 회계 기법을 적용하지 않는다면 1Q21 대비 최소 10% 이상의 매출 증가가 예상됩니다.
한솔케미칼 2분기 예상 실적
- 예상 매출 1,947억
- 예상 영업이익 565억
6. 결론
테이팩스가 2차 전지 관련주로 묶이고 실적이 개선, 한솔케미칼 본업도 실적 개선이 크게 나면서 주가가 큰 폭으로 상승했습니다. 이 회사의 코로나 이전 멀티플은 11 전후로 순수 화학 회사의 멀티플이 아닌 화학+2차 전지가 같이 묶여 있다 보입니다. 테이팩스 2분기 실적이 매출 400억에 영업이익 44억 정도로 예상이 되니 모회사인 한솔케미칼의 실적은 1,547억에 541억입니다. 이 기준에서 멀티플을 보면 15나 받고 있는데 꾸준한 성장세로 인해 동종 업종(석유 화학) 내에서 비교적 매우 높은 멀티플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다만 2차 전지 관련인 테이팩스의 매출 비중이 20.5%, 테이팩스 내에 2차 전지 관련 매출의 비중은 52.5%로 실제 한솔케미칼 내의 2차전지 테이프의 매출 비중은 10.8%밖에 안됩니다. 게다가 상장 종속회사인 테이팩스의 실적을 제외하고 봐야 이 회사의 대략적인 가치 산정이 가능합니다.
성장세가 어느 정도 완만하게 낮아지면 결국 멀티플은 과거 지점인 11로 회귀할 가능성도 있습니다만 테이팩스의 성장세로 조금 더 높게 평가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최고 지점 15와 기존 평가 지점인 11의 절반인 13으로 무난하게 평가해 보면 현재 주가는 적정 수준에 있다 보입니다. 이 회사의 성장세에 대한 확신이 있다면 매매가 가능한 자리입니다만 단기(1년 전후) 기대 수익률은 그만큼 낮춰서 봐야 합니다.
장점
- 꾸준항 성장세
- 자회사인 테이팩스의 성장 기대
- 업황과 상관없는 선 투자
단점
- 주력 제품의 가동률 개선이 예상되므로 추가 증설 필요
- 선 반영된 주가
한솔케미칼 주가
21년 7월 20일 기준가 247,000원
21년 영업이익 2,134억 달성 시 244,500원
22년 영업이익 2,134억 달성 시 284,000원
* 상기 의견은 개인적인 분석에 따른 의견입니다.
'석유화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롯데정밀화학_004000> 재무제표 기반 주가 분석 (0) | 2021.09.15 |
---|---|
<롯데케미칼_011170> 재무제표 기반 주가 분석 (2) | 2021.07.13 |
<유니드_014830> 재무제표 기반 주가 분석 (0) | 2021.05.27 |
<애경유화_161000> 재무제표 기반 주가 분석 (2) | 2021.04.14 |